모든 이가 자율주행차의 장점을 누리기 위해선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 공공이 이용하는 목적 기반 차량(PBV) 등 새로운 교통수단이 필요하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단거리 1인용 이동 수단이다. 전동 휠체어가 이에 해당한다. 미국에서 휠체어 사용자는 2020년 33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에 달한다. 전동 휠체어는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의 41%를 차지한다. 자율주행기술이 추가돼 보조 인력이 필요 없어진다면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은 더 커질 것이다.
한국에서도 고령화가 가속화하고 1인 가구가 늘면서 홀로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어려운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자율주행 휠체어는 더 절실한 교통수단이 될 것이다.
현대자동차·기아도 지난 5월 서울시립미술관, 분당서울대병원과 자율주행 휠체어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지금은 자율주행기술 개발이 중심이지만, 향후 다른 교통수단과 연계하는 방법, 안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 휠체어는 라이다, 카메라,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해 주행로 정보를 받는다. 자율주행에 필요한 이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분석 및 인식한다. 그 후 내장된 인휠 시스템으로 주행하게 된다. 자동탑승기술까지 장착되면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도 PBV나 개인 차량에 함께 탑승할 수 있다.
휠체어는 용도가 특수하다 보니 자율주행 기능이 더해질 때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육체적인 이유로 이동이 불편한 상황뿐 아니라 시·청각적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도 자율주행 기능을 이용하면 보호자의 도움 없이 목적지까지 이동이 가능하다. 현재는 병원, 미술관 등 특정 공간과 요양시설 등에서 실내 이동 시 보호자 없이 이동이 가능한 수준으로 첫걸음을 내디뎠다. 향후 시설 밖에서 주행도 가능하도록 활용 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이다.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교통 약자들도 이동의 평등권을 누릴 권리가 있다. 대중화에 실패하면 첨단 기술로 이뤄진 고가의 자율주행 휠체어는 경제적 여유를 지닌 자들의 특권이 될 것이다. 공공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다. 현재 경기 성남시는 도로 정보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과 결합해 ‘전동 휠체어 자율주행 길안내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이처럼 모빌리티를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이들 모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기업들의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과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휠체어의 자율 주행을 위한 소형 센서, 인공지능 주행 기술, PBV 또는 개인 차량에 자동으로 승하차 및 차량과 도킹할 수 있는 기술, 에어백 등 안전장치 등 이 모든 것이 완성돼 교통 약자라는 단어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