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보고서를 보면 한국 대표기업들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비해 올해 매출이 35% 성장했다. 19% 늘어난 미국 기업을 능가하는 약진세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일본 기업 매출이 같은 기간 1.1% 감소한 것이다. 나라 밖에선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반도체기업을 초청해 글로벌 공급망 전략을 짜고, 국내에선 물류대란 우려에도 생필품과 필수서비스가 별 차질 없이 공급돼온 배경이 명백해진 셈이다. 일부 대기업 중심의 한정된 성과일 수 있고, 겹겹의 규제망 속에 한국 기업이 더 매진·발전해야 할 과제 또한 쌓여 있지만 자긍심을 가질 만하다.
일본 기업과 비교해 보면 더 큰 시사점이 보인다. 매사 일본과 견주는 게 바람직한 접근법은 아니지만, 적어도 ‘죽창’ 운운하는 것이 ‘일본을 이기는 길’이 아님은 분명하다. 기업과 산업, 과학과 기술, 나아가 문화에서의 우열이 국가 간 경쟁을 좌우하는 시대다. ‘메이드 인 코리아’가 일본산(産)을 추월할 때 자연스럽게 ‘극일(克日)’도 이뤄지는 것이다. 우리가 내세우지 않아도 절로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된다. 반도체만이 아니라 ‘오징어게임’ 같은 한류의 소프트 파워 파급력도 더 커질 것이다.
과거 군대와 함포를 대신하는 ‘국적(國籍)기업’을 더 많이 길러내고 응원해야 할 때다. 한국산 제품·서비스가 더 빛나고 약진해야 극일도 가능하고, 중국의 패권적 행보에도 당당히 맞설 수 있다. 정치적 계산에 의해 들쑤실 때마다 좀비처럼 살아나는 수구적 민족주의는 일본에서도 낯선 현상이 아니지만, 우리가 먼저 떨쳐내야 할 구태다. 선거 때일수록 유권자가 특별히 경계해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지나치게 일본만을 경쟁상대로 삼거나 매사 단순비교하는 습관부터 지양할 필요가 있다. 이 또한 과거에 발목 잡힌 퇴행적 콤플렉스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미래이고, 상생의 협력이다. 세계를 석권하는 한국 기업이 더 많이 나와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선도국가가 될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