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과정에서 ‘보통사람’을 강조했던 그가 “나를 코미디 소재로 다뤄도 좋다”고 말한 뒤로는 ‘물태우’가 코미디 단골 메뉴가 됐다. 국정 운영에서도 그랬다. 취임 직후 “나는 이름부터 ‘큰(泰) 바보(愚)’니 당신들이 많은 의견을 내 달라”고 우스갯소리를 하며 보좌진의 의견을 폭넓게 듣고 적극 반영했다.
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물렁한 보통사람’이 ‘단군 이래 최대 호황’을 이끌었다는 점에는 이견이 별로 없다. 5년간 연 10% 안팎의 성장을 거듭했고, 임금이 115% 올랐으며, 중산층 비율이 75%를 넘어 집집마다 차를 살 수 있는 ‘마이카 시대’가 열렸으니 그럴 만하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경제정책은 서민의 내집 마련을 돕는 ‘주택 200만 가구 공급’이다. 1988년부터 4년간 새로 지은 집이 272만 가구나 됐다.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등 수도권 1기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집값을 잡고 주택보급률까지 높였으니 일석이조였다.
또 다른 기억은 의료보험 혜택이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그가 1989년 국민의료보험제도를 개정해 의료보험 수혜 비율을 92%로 끌어올린 덕분에 가난한 사람들의 병원비 부담이 줄었다. ‘보통사람’들의 돈 걱정이 줄고 삶이 윤택해지자 해외여행이 함께 늘었다.
이런 성과가 하루아침에 이뤄진 건 아니다. 앞서 박정희·전두환 정부가 닦은 토대에 동아시아의 3저(저금리·저유가·저달러) 흐름까지 잘 탔기에 가능했다. 그 덕분에 중국 러시아 등 공산권 45개국과 수교할 수 있었고, ‘원조를 주는 나라’로 거듭날 수 있었다.
그동안 일반인의 평가가 역대 최하 대통령이었던 것과 달리 학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는 역대 4위를 차지했다. 그래서 ‘가장 저평가된 정권’으로 꼽히기도 한다. 경제 발전이라는 ‘빛’과 쿠데타 주범이라는 ‘그늘’을 동시에 남기고 그제 세상을 떠난 그의 삶에 먼 훗날 역사는 또 어떤 평가를 남길까.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