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0/01.27886279.1.jpg)
바이든 지지자들은 미국 정부가 기후정책을 통해 환경론자들을 만족시키고 진보단체 등에 충분한 자금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통해 바이든이 추진하는 강력한 아시아정책이 민주당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의 중심에는 기후정책의 비용 부담이 그리 크지 않다는 믿음이 있다. 이 믿음대로라면 기후정책을 강하게 추진하는 게 바이든 행정부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바이든의 기후정책은 민주주의 진영의 경제력과 정치적 영향력을 훼손하고 러시아와 이란 같은 권위주의 국가의 영향력을 키울 수 있다. 친환경 에너지가 확실하게 자리잡기도 전에 화석연료에 대한 투자를 줄이면 결국 러시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 권위주의 국가들이 앉아서 수조달러를 벌어들이는 꼴이 된다. 이들 국가는 미국이 견제해야 할 세력임에도 말이다.
서방세계의 화석연료 기업들은 규제당국의 명령에 따라 석유와 가스산업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있다. 그러나 서방세계를 비롯한 글로벌 소비자들은 그보다 천천히 화석연료 사용을 줄일 것이다. 러시아 국영 석유회사 가스프롬 등 권위주의 국가의 국영 석유기업에는 호재다. 천천히 원유 생산량을 늘려 유가를 올리거나 생산량을 빠르게 확대해 이익을 늘릴 수도 있다. 어느 쪽을 골라도 이득이다.
장기적으로 화석연료에 대한 수요는 고갈돼 화석연료 생산국들의 자산이 줄어들 것이다. 그러나 멀고 위험한 과도기를 거쳐야 한다. 지정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지속 불가능한 기후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기후정책 지지자들은 이런 결과를 예측하지 못했다. 올겨울 유권자들이 높은 석유 가격과 난방비를 마주하게 된다면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의 외교와 기후 관련 의제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에 대해 더욱 고민하게 될 것이다.
이 글은 영어로 작성된 WSJ 칼럼 ‘Energy Crisis Hobbles Biden’s Green Agenda’를 한국경제신문이 번역한 것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