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01.27946709.1.jpg)
차기 대통령 선거를 4개월 앞두고 여야 간 역대급 ‘비호감 경쟁’이 벌어지면서 제3지대 후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출사표를 던진 김동연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대선 완주 의지를 강하게 밝혔다. 하지만 이들 후보가 결국 ‘몸값’을 높인 뒤 각각 양당과 손을 잡지 않겠냐는 전망도 제기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제3 지대 후보의 향후 행보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김 전 부총리가 새로운물결을 창당하면서 원내 군소정당인 시대전환과 손잡은 것도 친(親)여당 인사로 꼽히는 요인이다. 시대전환은 21대 총선에서 민주당 위성정당이었고, 지난 4월 보궐선거에서는 민주당과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를 이뤘다.
민주당 내에서는 김 전 부총리의 신당 창당 직후 “서울시장을 노리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차기 대선은 결국 ‘3~5% 싸움’이 될 것인데 김 전 부총리가 어느 정도 지지율이 나오면 서울시장 자리를 요구하면서 여당과 단일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고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01.27946708.1.jpg)
관료 출신인 김 전 부총리는 중도층에게 호소력 있는 인사로 민주당은 평가하고 있다. 개혁 성향이 강한 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약점을 보완해줄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이 후보 후임으로 경기지사 후보에 김 전 부총리를 거론하고 있다.
김 전 부총리가 국민의힘과 단일화를 받아들일 경우 대선과 함께 치러지는 서울 종로 보궐선거 출마를 점치는 이들이 많다. 야권 관계자는 “김 전 부총리가 야당 대선 후보와 러닝메이트로 종로에 출마하면 ‘반문(반 문재인) 정서’를 더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부총리가 부총리 시절 문재인 대통령의 소득주도성장에 비판적이었고, 청와대와 각을 세웠다는 이유에서다.
홍 의원은 “과거 DJP 연대하듯이 세력 대 세력을 연대해서 공동 정부를 창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도로의 확장성이 있는 안 대표가 대권에 필요하다는 게 홍 의원 판단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01.27946707.1.jpg)
DJP 연대는 15대 대선 당시 김대중(DJ) 전 대통령은 김종필 자유민주연합 총재의 단일화를 의미한다. 김 총재가 DJ 정부 초대 총리를 맡은 것은 단일화 과정에서 합의된 사항이었다. 홍 의원이 DJP 연대를 거론하면서 안 대표의 총리설이 자연스레 제기됐다.
다만 차기 대선이 ‘박빙’으로 예상되면서 야권에서 단일화 요구는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 경우 안 대표 측에서 종로 출마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조미현/이동훈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