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파르게 상승한 국내외 단기금리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높은 수준에서 장기화되고, 가파른 정책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란 시장 전망을 반영하고 있다.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10월 초 연 0.27%에서 현재 연 0.50%로, 호주 국채 3년물 금리는 0.34%에서 1.22%까지 급등했다. 다만 현재 인플레이션은 주로 공급망 문제에 원인이 있고, 생산성 하락과 교역량 감소로 이어져 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있는 만큼 채권금리에 일방적인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것인지에 대해선 논란도 있다. 과거 성장률이 둔화되는 가운데 물가가 장기간 상승했던 미국의 1960년대 후반 사례를 검토해봤다.
당시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966년 8%에서 1967~1969년 3~5%대로 둔화됐다. 미 국채 5·10년물 금리는 1960년대 초반 연 3%대에서 형성됐으나 1966년 들어서는 연 4% 중반으로 상승했고 1968년 말 연 6%를 넘어섰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에서 5년물 금리를 뺀 장단기 금리차는 1960년대 초반 0.1~0.3%포인트를 유지했으나 1966년부터는 장기금리가 오히려 낮아지는 역전이 벌어져 1970년까지 역전 상태가 지속됐다.
예상보다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되고 성장률도 둔화된다면 1960년대 후반과 같이 단기금리가 더 큰 폭 오르면서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인플레이션 문제에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응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의견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은 경제단위의 적절한 ‘중립금리’(인플레나 디플레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장기적 경제 성장을 가능케 하는 적정수준 금리) 수준을 높인다는 논거로 활용돼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요구할 전망이다.
적자재정 편성에 따른 M1(협의의 통화량) 증가, 투기 성향이 높아지는 시장 참여자들, 대출 수요 증가 등이 M2 상승률에 기여한다. 경제 안정을 위해선 정부는 정책적으로 재정 확장 속도를 낮추고, 대출 수요도 제어해야한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기본소득 정책 관련 논의가 활발해지는 등 큰 정부주의가 힘을 얻고 있고, 한국의 경우 내년에 대선이 치러진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긴축으로의 의미있는 전환은 쉽지 않아 보인다.
확장 재정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 압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이번달 기준금리를 연 1.00%로 인상하고, 내년 1~2월 1.25%로, 내년 3분기엔 1.50%까지 인상할 것으로 예상한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2023년 한국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도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