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01.28003965.1.jpg)
NHN이 올해 3분기에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분기 최대 실적을 올렸다. 결제 및 광고, 기술 사업 부문에서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이끌었다.
NHN은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279억22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725억1100만원으로 14.8% 늘어났고, 당기순이익은 445억100만원으로 38.7% 뛴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부문별 매출을 보면 게임 부문은 추석 연휴와 인기 지식재산권(IP)과의 콜라보레이션(협업) 이벤트 효과로 직전 분기 대비 10% 증가한 955억원으로 집계됐다. PC와 모바일을 합산한 웹보드 게임 매출은 전년 동기와 전 분기 대비 모두 상승했다.
결제 및 광고 부문은 NHN한국사이버결제의 지속적 해외 가맹점 확보에 따른 매출 확대, 페이코 거래 규모 개선 및 쿠폰 광고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3.4%, 전 분기 대비 6.2% 상승한 2084억원으로 분기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비대면 주문 서비스인 페이코오더의 주문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2.2배 이상 성장했다. 캠퍼스존은 결제 금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배 상승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 속에서도 차별화 전략으로 오프라인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커머스 부문의 경우 계절적 비수기를 맞은 에이컴메이트의 중국 커머스 사업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 내 도소매 이용자 증가에 따른 NHN글로벌 매출 상승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1% 상승, 전 분기 대비로는 3.4% 감소한 769억원을 기록했다.
기술 부문은 공공부문 수주 확대를 통한 국내 클라우드 사업 확대와 일본 NHN테코러스의 MSP 사업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82%, 전 분기 대비 11% 증가한 572억원의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콘텐츠 부문 매출도 NHN코미코의 지속적 매출 개선 효과와 NHN티켓링크의 스포츠티켓 판매 매출 부진 효과가 혼재해 전년 동기비 3.2% 증가, 전 분기비로는 4.6% 감소한 438억원을 기록했다.
정우진 NHN 대표는 "클라우드와 AI 등 자체 기술력 확장에 더해 블록체인 기술 협력 등 새로운 사업 기회를 도모하며 글로벌 탑티어 테크 컴퍼니로 성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