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AA.28052158.1.jpg)
포스코가 그룹에 흩어져 있는 물류 인력과 조직을 자회사인 포스코터미날로 통합하기로 했다. 정치권과 해운업계 반발로 물류 통합자회사 신설이 무산된 지 1년여 만이다. 별도 회사를 신설하는 대신 그룹의 대량화물유통기지(CTS) 사업을 영위하는 포스코터미날을 그룹 물류업무를 총괄하는 통합 물류업체로 출범시킬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 연간 6조원에 달하는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AA.28054277.1.jpg)
포스코는 지분 인수가 마무리되는 대로 그룹 계열사에 흩어져 있는 물류 인력을 포스코터미날에 배치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최근 포스코인터내셔널, SNNC, 포스코강판 등 각 계열사에 속한 물류사업부 임직원에게도 이 같은 계획을 통보했다. 모든 통합 작업을 연내에 끝내는 게 목표다. 포스코는 작년 물류 통합자회사 신설이 무산된 후 포스코터미날에 물류 기능을 통합하는 방안을 비밀리에 추진해왔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해 8월 각 계열사의 물류 업무를 통합한 포스코GSP를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그러자 해운업계와 정치권은 ‘포스코의 해운업 진출 포석’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도 반대 의사를 밝히면서 통합자회사 설립 계획은 무산됐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전략기획본부 산하에 있던 물류통합태스크포스(TF)도 해산했다. 다만 물류통합TF장을 맡고 있던 김복태 전무를 올초 포스코터미날 대표로 발탁했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자회사 업무를 강화하는 방식이어서 신설 회사 설립에 비해 해운업계 반발을 덜 살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AA.28054276.1.jpg)
포스코 관계자는 “원료 구매·제품 제작·판매 과정에서 여러 계열사가 각자 운송 계약을 맺다 보니 비효율적인 측면이 많다”고 지적했다. 물류업무가 통합되면 동일 노선에서 두세 척의 배가 실어 나르던 물량을 하나의 배가 실어 나를 수 있게 된다. 기존에 계열사별로 나눠 운송 계약을 맺은 탓에 빈 채로 돌아오던 선박에 화물을 실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해운업계 반발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포스코는 국내 해운업 운반물량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대형 고객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포스코터미날이 몸집을 키운 후 해운 운임을 대폭 깎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물류자회사와 관련한 구체적인 사항은 공개할 수 없지만 해운업 진출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