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날 위중증 환자는 495명으로 집계됐다. 직전일보다 24명 늘었다. 정부가 현 의료체계로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밝힌 ‘500명’에 다다랐다. 11월 위드 코로나 시행 이후 위중증 환자가 꾸준히 증가한 결과다. 최근 1주일간(11월 9~15일) 하루평균 위중증 환자는 477명이다. 위드 코로나를 시행하기 전인 10월 마지막주(10월 25~31일·338명)에 비해 4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주간 사망자도 85명에서 139명으로 64% 늘었다.
전체 위중증 환자의 80%가 나오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76.1%다. 애초 정부가 비상계획(서킷브레이커) 가동 기준으로 밝힌 ‘중환자 병상 가동률 75%’를 넘어섰다. 남은 병상이 없는 건 아니지만, 중환자 전담 인력·장비 등이 부족해 대전·충청 등 인근 지역으로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
준중증 병상이 100% 찬 곳도 있다. 인천, 전남, 경북은 입원 가능한 준중증 환자 병상이 아예 없다. 강원도 남은 병상이 딱 1개다. 준중증 병상은 위중증 상태가 호전되거나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큰 환자가 입원한다. 준중증 병상에 여유가 있어야 중환자 병상의 회전율이 높아져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상황이 나빠지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 비상계획을 가동할 정도는 아니라고 설명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유럽 등 외국에선 일상회복 이후 대규모 유행이 촉발됐지만 우리나라는 그만큼 (유행이) 커지진 않았다”며 “일상회복을 중단하고 비상계획을 발표할 상황은 아니다”고 했다.
정부는 이날 수도권 내 22개 상급 종합병원장을 대상으로 회의를 소집했다. 정부는 이들 병원에 “최대한 빨리 준중환자 병상을 확충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의에 참여한 병원 관계자는 “응급 중환자실 등의 병상을 줄여야 인력 투입이 가능한 상황”이라며 “일반 중증환자 관리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17일 코로나19 유행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을 발표할 계획이다. 위드 코로나 시행에 발맞춰 기존 확진자 수 중심의 방역체계를 위중증 환자·사망자 중심으로 바꿀 예정이다. 부스터샷(추가접종) 간격 조정도 발표할 계획이다. 정부는 현재 6개월 간격인 부스터샷을 5개월 이하로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