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22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를 열고 우리금융지주 잔여 지분 매각 낙찰자로 유진PE 등 5개사를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본지 11월 22일자 A1, 15면 참조
4%를 낙찰받은 유진PE는 예금보험공사가 입찰 과정에서 당초 약속한 신규 사외이사 추천권도 확보했다. 유진PE에 이어 KTB자산운용(2.3%), 얼라인파트너스컨소시엄(1%),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1%), 우리금융지주 우리사주조합(1%) 등도 낙찰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낙찰 가격 평균은 주당 1만3000원대다.
이번 매각이 완료되면 기존 최대 주주였던 예보의 지분은 5.8%로 낮아진다. 우리사주조합(9.8%), 국민연금(9.42%)에 이어 3대 주주로 내려앉게 된다. 대신에 IMM PE(5.57%), 유진PE(4.00%), 푸본생명(3.97%), 한국투자증권(3.77%), 키움증권(3.73%), 한화생명(3.16%) 등 과점 주주 중심으로 지배구조가 재편된다.
이사회 구조도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6명 체제로 바뀐다. 유진PE가 신규 사외이사 추천권을 얻으면서 사외이사 의석수가 1석 늘어나고 예보가 갖고 있던 비상임이사 자리가 사라진다. 기존 이사회는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5명, 비상임이사 1명 체제였다. 유진PE 측은 “안정적인 대형 금융사이기 때문에 금리 상승기에 좋은 투자처라 판단했다”고 말했다.
민영화는 우리금융의 최대 숙원사업이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은행권 ‘빅5’였던 ‘조한제상서’(조흥·상업·제일·한일·서울은행)가 줄줄이 무너졌고, 이후 공적자금 12조7663억원을 투입받은 상업·한일은행이 합병해 한빛은행(우리은행의 전신)이 탄생했다. 여기에 평화은행 등이 추가 합병되면서 우리은행으로 재출범했다. 이후 금융지주사로 전환했지만 최대주주는 변함없이 예보였다. 금융위 관계자는 “옛 한일·상업은행에 공적자금이 수혈된 지 23년 만에 완전한 민영화에 성공한 것”이라며 “이번 매각으로 8977억원이 회수돼 향후 잔여지분을 주당 1만193원 이상으로만 팔면 공적자금을 전액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금융은 완전 민영화를 계기로 그룹 포트폴리오 강화에도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우리금융은 다른 금융지주에 비해 증권·보험 등 비은행 부문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우리금융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내부등급법 승인을 받으면서 추가 출자 여력도 크게 늘었다”며 “앞으로 M&A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소람/안대규 기자 ra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