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집회는 코로나 5차 확산의 중차대한 시기에 강행됐다는 점 외에도 주목할 대목이 적지 않다. 민노총은 지난 25일 양경수 위원장 석방 직후부터 단체행동에 더 열을 내고 있다. 화물연대는 양경수 석방 당일 보란듯이 사흘간의 전국 파업에 들어갔고, 공공운수노조도 주말 대규모 집회를 강행했다. 양 위원장은 석방 때 “문재인 정부는 이제 끝났다”고 선언했고, 공공운수노조는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 때까지 한 치의 물러섬 없이 나서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마치 다음 정권을 상대로 세(勢) 과시와 정치투쟁을 선포한 모양새다.
요구 내용도 그렇다. 비정규직 차별 철폐와 노동법 적용 확대 등 상투적인 내용뿐 아니라 기획재정부 해체까지 주장하고 나섰다. 나라곳간 열쇠를 틀어쥐고 필요한 지출을 안 해 사회 공공성을 해친다는 게 명분이지만, 좌파·노동계 요구에 제동을 거는 관료 사회를 손보겠다는 경고에 다름 아니다.
민노총이 이렇게 ‘안하무인’이 된 데는 현 정권의 책임이 크다. 선거 때마다 민노총의 조직과 표를 얻기 위해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제 강행, 기업규제 3법 등 요구사항을 예외없이 들어줬다. 막무가내식 불법 파업과 집회·시위 때도 말로만 ‘무관용 원칙’ ‘엄정 처벌’일 뿐 솜방망이 처벌로 일관했다. 그러면서 보수단체와 자영업자 집회에는 원천봉쇄 등 강경대응으로 일관해 ‘이중 잣대’ 논란을 자초했다. 이번에도 경찰이 ‘엄정 수사’를 언급했지만 이를 곧이곧대로 듣는 이가 있을지 의문이다.
다음 정부에서라도 이런 파행을 바로잡아야 할 텐데 기대 난망이다. 여당 대선후보는 벌써부터 노동계에 구애 작전이다. 노조가 원하는 공공부문 노동이사제, 공무원 타임오프제를 필요하면 연내 국회에서 단독 처리하겠다고 했다. 안하무인의 ‘민폐 노조’, 나라 갉아먹는 ‘노조 공화국’을 만든 것은 다름 아닌 이런 정치인들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