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는 조달청, 혁신조달 지원센터, 아이디어 제안자가 화상으로 참석해 수요 구체화 과정을 공유했다.
31개의 아이디어는 지난해 5월 개통한 혁신지향 공공조달 플랫폼 ‘혁신장터’를 통해 국민과 공공기관이 제안한 3000여 개 아이디어 중 선정한 것이다.
조달청은 31개 아이디어에 대해 제안자, 아이디어 채택 희망 지자체 및 공공기관, 기술·조달 전문가로 수요개발단을 구성하고, 3개월 간 내용을 구체화해 내년 2월부터 혁신제품 모집에 나설 계획이다.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수요개발에 참여한 지자체 및 공공기관을 통한 시범사용, 3년 간 정부 및 공공기관의 수의계약을 통한 구매 등 혜택이 주어진다.
김정우 조달청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정부가 미처 생각지 못한 국민 생활 개선 아이디어를 발굴 할 수 있었다”며 “국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국민 삶 속에 파고드는 혁신제품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