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기에 새로 대출받을 땐 혼합형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단연 유리하다.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나 단기 금융채에 따라 6개월~1년마다 금리를 재산정하는 변동금리 상품은 금리 인상분이 고스란히 대출 이자에 반영된다. 반면 고정금리 상품은 5년간 기준금리에 변동이 없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최근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대출 간 금리 차는 좁혀지는 추세다. 3일 기준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개인신용 3등급 기준)를 보면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연 3.59~5.00%, 금융채 5년물 기준 혼합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연 3.56~5.08% 수준이다. 아직은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지만, 지난 5월 0.5%포인트 전후까지 벌어졌던 격차가 최근 0.1%포인트 이내로 줄었다. 하나·신한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고정금리를 추월했다. 지난달 25일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단기금리는 오르고 장기금리는 오히려 소폭 내렸기 때문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내년에도 한은이 기준금리를 최소 두 차례(0.5%포인트) 인상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만큼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미 변동금리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차주라면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걸 고려할 만하다. 그러나 우선 현재 적용받는 금리 구조와 가산금리를 확인해봐야 한다. 통상 대출금리는 ‘기준금리+가산금리-우대금리’로 구성된다. 변동형 금리는 기준금리의 움직임에 좌우될 뿐 가산금리는 대출 만기까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과거 처음 대출을 일으킬 당시 책정된 가산금리가 대출을 갈아타려는 시점의 가산금리보다 현저하게 낮다면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고려해도 갈아타지 않는 게 나을 수 있다. 은행 관계자는 “본인의 가산금리가 어느 수준인지 먼저 파악하고 유불리를 따져야 한다”며 “은행 영업점에서 다시 상담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대출을 갈아탈 땐 중도상환수수료와 대출 가능 금액을 확인하는 것도 필수다. 대출을 처음 받은 날로부터 3년이 아직 지나지 않았다면 상환금액의 1.2% 정도를 수수료로 내야 해 부담이 커질 수 있다. 다만 대부분 은행은 소비자가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 처음 갈아탈 때에 한해 중도상환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대출 한도도 중요한 변수다. 갈아타는 시점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의 대출 규제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첫 대출 이후 DSR과 담보인정비율(LTV) 규제가 더 강화됐다면 대출 가능 금액이 줄었을 수 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