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는 “백신 부작용, 청소년 방역 패스 등 방역 과정에서 국민이 느끼는 불안한 부분도 국가가 책임지겠다”고도 약속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백신 부작용) 보상과 치료비 부담에 대해 인과관계를 따지고 있는데, 인과관계가 없다는 걸 국가가 증명하지 못하는 한 완전하게 국가가 책임지도록 하겠다”고 했다. 백신패스 도입으로 국민들 사이에 불만이 높아지자 이를 수습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박완주 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도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청소년 백신패스’와 관련해 “학교는 되는데 학원은 왜 안 되는가 물으실 수 있다. 형평성 있게 조정해 나가겠다”고 했다. 당정이 학원 규모 등을 반영해 청소년 방역패스 시행 시기와 적용 대상을 조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은 이날 손실보상 대상이 되는 방역조치에 영업시간 제한뿐 아니라 인원 제한도 포함하는 내용의 소상공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해당 내용을 손실보상 지원 시점인 지난 7월부터로 소급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발의 명단에 이름을 올린 민병덕 민주당 의원은 “인원 제한 보상 내용을 7월로 소급하는 걸 주장하려고 한다”고 했다.
원 본부장은 “이전까지 손실에 더해 앞으로 발생할 손실까지 포함하는 과감한 보상 방안을 추진하겠다”고도 밝혔다. 손실 입증 자료 확인 전이라도 국세청과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한 행정자료를 기반으로 피해액의 절반을 우선 지원하는 ‘선(先) 보상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자영업자들의 채무 부담 경감을 위해 소액 채무인 경우 원금 감면 비율을 70%에서 90%까지 확대하겠다고도 발표했다.
국민의힘은 코로나19 회복 방안을 차기 정부의 핵심 과제로 선정하고 연이어 관련 대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 7일에는 백신 부작용 국가책임제, 8일에는 중증환자 병상 확보 방안 공약을 내놨다. 선대위 산하에 ‘코로나 대응위원회’를 발족하기로 하고 10일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원 본부장은 재원 마련을 위한 방법으로 “헌법상 모든 수단과 절차를 강구할 것”이라며 대통령의 긴급재정경제명령권을 발동할 수 있다는 뜻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자신이 제안한 ‘손실보상 100조원’과 관련해 “윤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대책을 수립하는 방안 중 하나”라며 “민주당과 협상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민주당이 생각하는 대처 방안과 우리가 생각하는 대처 방안이 같을 수 없다”고도 했다. 이에 이 후보는 “윤 후보가 대통령이 되지 않으면 안 하겠다고 협박하는 것이냐, 아니면 어차피 지키지 않을 약속이니 선거 후에 ‘나 몰라라’ 하겠다는 것이냐”고 맞받아쳤다. 그러면서 “지금 즉시 구체적인 지원 방안에 대해 선대위 대 선대위, 후보 대 후보 협의를 바로 시작하자”고 했다. 일각에선 여야 모두 방역 대비 당내 기구를 출범시켜 구색만 맞추고, 실제로는 피해 지원 규모를 둘러싼 신경전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고은이/이동훈 기자 kok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