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257661.1.jpg)
명실상부한 ‘아시아 금융허브’였던 홍콩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홍콩에 거점을 둔 미국 기업 수가 18년 만에 최소 수준으로 줄었고, 미국 기업이 떠난 자리는 중국 기업이 채우고 있다. 홍콩 통계처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홍콩에 아시아·태평양 등 지역본부를 둔 미국 기업은 254개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2003년(252개) 후 최저치다. 대신 중국 본토기업이 1년 새 5% 늘어 252개를 기록했다.
홍콩은 세계 3대 기업공개(IPO) 시장 지위에서도 밀려났다. 올 들어 홍콩 증시에서 IPO로 조달된 자금은 378억달러로 미국 나스닥과 뉴욕증권거래소,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이어 4위였다. 지난해까지 세 손가락 안에 들었으나 올해는 순위가 떨어졌다.
자타공인 ‘최고의 금융허브’는 미국 뉴욕의 월스트리트다. 지도상으로 브로드웨이에서 이스트리버에 이르는 이 지역에는 미국 증권거래소와 어음교환소, 뉴욕연방은행, 시티뱅크, 체이스맨해튼, 모건스탠리 등 핵심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본사가 집결했다. 유럽 금융의 중심지로는 영국 런던이 꼽힌다. 여의도보다 작은 행정구역인 시티(City)라는 곳에 금융회사 사무실이 수천 개 몰려 있다.
영국과 미국은 금융패권 1인자 자리를 놓고 치열한 자존심 싸움을 벌여왔다. 전통 제조업 중심의 성장에서 한계를 맞닥뜨린 선진국들은 서비스업, 그중에서도 수익성과 고용창출 효과가 큰 금융업을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하는 추세다. 최근에는 중국과 중동의 기세가 무섭다. 경제력 급성장과 핀테크 창업 열풍에 힘입어 상하이, 베이징, 두바이 등이 차세대 금융허브로서 위상을 키우고 있다.
한국 정부도 금융허브를 키우겠다고 나선 지 20년 가까이 됐는데, 냉정하게 말하면 별 성과는 없었다. 2003년 ‘동북아시아 금융허브’ 청사진을 계기로 2009년 서울 여의도와 부산 문현동이 금융중심지로 지정됐다. 하지만 세계 시장에서 존재감이 미미하다는 지적이 많다.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금융회사는 지난해 말 기준 166개로 5년 전과 똑같다. 올 4월 씨티은행이 한국 소매금융사업 철수를 발표하는 등 짐을 싸서 나가려는 곳이 오히려 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3677042.1.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