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서울창업허브와 메르세데스-벤츠가 모빌리티 유망 스타트업 인큐베이팅을 위해 손을 잡았다.
서울창업허브는 메르세데스-벤츠 모기업인 독일 다임러 그룹과 스타트업 발굴·육성 플랫폼인 ‘스타트업 아우토반’을 통해 선정된 총 11개 스타트업의 성과발표회인 ‘엑스포데이(Expo Day)’를 13일부터 이틀간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개최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01.28320696.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01.28320696.1.jpg)
‘스타트업 아우토반’은 다임러 그룹이 스타트업의 혁신 기술·서비스를 통해 다임러 모빌리티 관련 다양한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 설립한 글로벌 개방형 혁신 플랫폼이다. 독일에서 출범한 이래 미국, 중국, 인도 등에서 개최돼 총 5,000개사 이상의 스타트업을 발굴했으며, 한국은 작년에 세계에서 7번째로 ‘스타트업 아우토반’을 진행했다.
이번 엑스포데이에는 토마스 클라인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대표,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 김현우 서울산업진흥원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다. 스타트업들의 최종 성과 발표 및 실제 제품 및 서비스 공개, 스타트업 솔루션 탑재 차량 현장 전시 등이 진행된다.
올해 두 번째로 개최되는 ‘스타트업 아우토반 코리아’는 SK텔레콤, LG전자 등과 함께 진행한다. SK텔레콤의 경우, 최종 11개 사 중 5개 사 선발(5G Enterprise 분야), 100일간 SK텔레콤 현업부서들과 파일럿 테스트 진행, 이후 결과 기반 공동 사업화, 투자 및 글로벌 진출 예정이다. 서울시는 국내기업 등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해 스타트업 모집 및 선발, 기술검증 등 공동 사업화 진행 등 ‘스타트업 육성 및 협업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이번 엑스포데이에서는 올 9월부터 서울창업허브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진행해온 커넥티드 카 커머스, 5G 기반 보안 및 점검 솔루션,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11개 국내 유망 스타트업의 개발 성과가 공개된다. 5월부터 스타트업 선발 과정을 거쳐 9월부터 11월까지 100일간의 프로젝트 개발, 멘토링, 파일럿 프로그램(상용화 기술·제품 개발)을 진행했다. 참여 스타트업은 전문가 멘토링 및 네트워킹, 벤처 캐피탈을 통한 투자 유치 기회뿐만 아니라, 개발 공간 및 장비 등을 지원받고, 현업 전문가들과 함께 공동 프로젝트 진행 및 체계적인 전략수립 노하우 전수 기회까지 제공받았다.
이번에 최종 선발된 스타트업은 총 11개사로,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인증중고차 거래 시스템 개발한 ▲데이터킹, SW 개발조직을 위한 AI 챗봇 기반 All-in-One 협업 툴 ▲랭코드, 현실공간에 나만의 판타지 세계를 만들고 공유하는 현실세계 메타버스 트윈월드를 개발한 ▲더블미, VR세상을 선도하는 차세대 VR 솔루션 기업 ▲이머시브캐스트, 스마트글래스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킬 특별한 도전 ▲딥파인, 오프라인 공간 방문객들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처리 인공지능' 개발 테크 스타트업 ▲메이아이, 웨어러블 카메라 자체 개발/제작한 ▲링크플로우, 웹기반 통합 IoT 운영 플랫폼 전문 기업 ▲플럭시티, 운전자를 위한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사용자와 가맹점을 연결하여 구현한 ▲오윈, AIOT / 영상 기반 자율주행 및 실내 주차솔루션 개발한 ▲베스텔라랩, 디스플레이 상에 원격으로 문화예술 콘텐츠를 관리하는 솔루션 개발한 ▲빛글림이 메르세데스-벤츠와 진행해온 사업화 성과를 발표한다.
최종 선발된 기업들은 독일 진출을 위한 후속 현지 액셀러레이팅과 서울창업허브 입주 지원 등 보육 및 사업화를 지원받을 예정이다. 특히, 독일 다임러 본사는 최종 선발된 스타트업의 독일 현지 보육 및 기술개발을 지원받고, 향후 조인트벤처 설립 또는 M&A 단계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태훈 서울창업허브 본부장은 “‘스타트업 아우토반’이 모빌리티 분야 우수 기술을 보유한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우리 스타트업이 우수한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을 선점 할 수 있도록 글로벌 대기업, VC, 한국무역협회 등 창업생태계 플레이어와 네트워크를 통해 성장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h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