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350536.1.jpg)
앤 마리 엥토프트 라센 덴마크 기술 대사는 16일 서울 당주동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에 과학기술 세션 연사로 나서 “AI의 ‘투명성(transparency)’을 보장하는 것이 기술을 인간 삶에 통합할 핵심 해결책”이라고 제시했다. 세션은 ‘인간과 공존하는 AI 정책과 글로벌 협력’을 주제로 열렸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350625.1.jpg)
AI의 신뢰 문제는 대다수 국가에서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2019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이 채택한 ‘OECD AI 원칙’이나, 지난해 미국·유럽연합(EU)·호주·한국 등 15개국이 모여 발족시킨 ‘AI 글로벌 파트너십(GPAI)’ 협의체는 모두 ‘신뢰 가능한 AI 발전’을 기준으로 내세웠다.
다만 국가 간 역량 격차와 보수적 교류 태도는 AI 생태계가 극복해야 할 과제다. 장 필리프 쿠르투아 마이크로소프트 수석부사장은 “보호무역주의가 늘며 데이터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며 “국가 간 데이터 개방을 더 활성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