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재영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두 후보가 공통으로 주택 공급을 부동산 공약으로 앞세우고 있는 것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실패했다는 인식에 바탕을 둔 것 같다”며 “‘다주택자의 주택 독점이 문제일 뿐 공급은 부족하지 않다’는 문재인 정부의 진단이 잘못됐다고 판단한 것은 옳은 방향”이라고 분석했다.
이 후보는 기본주택 100만 가구 등 공공주도 방식으로, 윤 후보는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등을 통한 민간주도 방식으로 각각 250만 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기본주택은 무주택자가 건설 원가 수준의 임대료로 30년 이상 거주할 수 있게 한다는 임대주택이다.
그러나 250만 가구 공급이 가능할지를 두고 두 후보 모두에게 의문이 쏟아졌다. 이 후보의 기본주택과 관련해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땅값이 워낙 치솟아 있는 상황이어서 택지 확보 자체가 힘들다”며 “토지를 수용하는 방식이라면 원주민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 교수는 “이 후보는 수도권 역세권 500m 이내에 기본주택 100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데 서울 역세권은 3.3㎡당 5000만원 이하로는 택지를 구할 수 없다”며 “현실적으로 그린벨트를 완화하지 않고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250만 가구 공급은 어렵다”고 진단했다.
윤 후보의 민간주도 방식도 비슷한 지적을 받았다. 손 교수는 “재건축·재개발은 기본적으로 멸실이 있기 때문에 규제를 완화한다고 해도 공급 효과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윤 후보의 30만 가구 ‘청년 원가주택’은 토지 50%를 기부채납하는 방식인데 이 경우 건축비가 많이 든다”며 “윤 후보가 제시하는 대로 값싼 분양가가 책정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홍기석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두 후보가 모두 250만 가구 공급을 내세운 것은 ‘열심히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 정도로 읽힌다”고 말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