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ZN.28186593.1.jpg)
LG디스플레이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패널 누적 판매량이 2000만 대를 돌파했다. 2013년 첫 양산에 돌입한 지 8년 만이다. 프리미엄 TV 수요 증가에 힘입어 LG디스플레이가 올해 OLED TV 패널 사업에서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1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TV 누적 판매량은 11월 말 기준 2050만 대를 기록했다. OLED TV 패널은 LG디스플레이가 독점 생산하고 있어 사실상 LG디스플레이의 실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내년에는 OLED TV 판매량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한다. 프리미엄 TV 시장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392275.1.jpg)
반면 OLED TV 판매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2013년 이후 OLED TV 패널 누적 판매량은 2016년 100만 대에 이어 2018년 500만 대, 2020년에 1000만 대를 돌파한 뒤 올 들어 2000만 대를 넘어섰다.
옴디아는 올 한 해 OLED TV 판매량을 580만 대에서 610만 대로 상향 조정한 데 이어 최근에는 650만 대로 또다시 높여 잡았다. LCD(액정표시장치) TV 가격 상승으로 OLED TV로 수요가 많이 넘어온 영향이 크다. 또 게이밍족이 증가함에 따라 화질과 성능이 뛰어난 OLED TV를 게임용으로 구매하는 사례도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실내 생활이 길어지면서 고화질 TV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며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 등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장시간 TV를 보더라도 눈 피로감이 덜한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전 세계 1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 내 OLED TV 점유율은 2019년 26%에서 올 3분기 36.7%로 늘었다.
특히 한국 기업의 OLED 패널 개발 소식에 “차라리 후지산을 물구나무 걸음으로 오르겠다고 하는 편이 낫겠다”고 비웃던 일본 기업도 이제는 LG디스플레이 없이는 OLED TV를 생산해 판매할 수 없게 됐다.
LG디스플레이는 늘어나는 OLED TV 판매량을 감당하기 위해 국내 경기 파주와 중국 광저우 공장의 생산 능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올 3분기 광저우 8.5세대 OLED 공장의 생산 능력을 기존 월 6만 대에서 9만 대로 늘렸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파주의 월 8만 대 생산 규모까지 합치면 연간 1000만 대의 TV에 공급할 수 있는 패널 생산 기반이 마련된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LG디스플레이의 대형 OLED 패널 출하량이 4분기에 더 확대될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올해 사상 처음으로 OLED TV 패널 사업에서 연간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의 2022년 OLED TV 부문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26% 증가한 7조4000억원, 영업이익은 대폭 늘어난 약 5700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