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는 22일 “현재 1만5000여 개인 중등증 이상 병상을 내년 1월 중순까지 1만여 개 더 확보하겠다”며 “이를 위해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등 공공병원을 비워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전환한다”고 말했다. 이들 병원은 당분간 일반 진료를 중단하고 모든 병상을 코로나19 환자에게만 배정한다. 기존에 입원한 환자는 퇴원시키거나 다른 병원으로 이송한다.
공공병원 병상을 차출한 건 그만큼 병상 부족문제가 심각하다는 증거다. 전날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5.7%로 사실상 ‘만석’이다.
현장에선 의료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공공병원뿐 아니라 국립대병원, 상급종합병원에도 ‘병상 동원령’을 추가로 내렸기 때문이다. 서울대병원은 전체 성인 중환자실의 40%가량을 코로나19 환자용으로 내놨다. 정부는 삼성서울병원 등 상급종합병원에는 허가 병상의 1%를 추가로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으로 지정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앞서 내린 행정명령까지 더하면 정부는 내년 1월까지 중등증 이상 병상 1만여 개를 추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병상 차출로 인해) 긴급성이 떨어지는 진료나 수술 등은 일정이 연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의료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병원을 잇따라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바꾼 정책이 이들을 ‘의료 사각지대’로 내몰 것이란 우려를 내놓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세는 꺾이지 않았다. 21일 신규 확진자는 7456명. 1주일 전인 14일(7850명)에 비해선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7000명을 웃돌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1063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은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가 떨어질 경우 다음달 말 하루 확진자가 최대 840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면 거리두기 효과가 지속될 경우엔 그 절반인 4700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날 화이자가 개발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에 대한 긴급사용승인 검토에 착수했다. 임상 및 품질 자료 등을 검토해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머크의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에 대해서도 지난달부터 승인 여부를 심의하고 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