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이런 비극이 되풀이됐을까. 사건을 수사해온 검찰에 그 1차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대장동 의혹이 터진 지 3개월간 수많은 증거와 제보·자료들은 ‘몸통 수사’의 필요성을 강변해왔다. 그런데도 검찰은 늑장 수사와 은폐, 꼬리 자르기에 급급하다 이런 비극을 자초한 것이나 다름없다. 김 처장 얘기만 들어봐도 그렇다. 김 처장은 ‘초과이익 환수조항 삭제’ 경위 등에 대해 검찰 조사를 받아왔다. 그는 죽기 전 가족들에게 “시키는 대로 했을 뿐인데”라거나 “윗선은 놔두고 왜 나만 괴롭히는지 모르겠다”고 괴로움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다 사망 당일 회사로부터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는 이유로 중징계 통보를 받고 아내에게 마지막 문자를 보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검찰은 그동안 대장동 사업을 직접 설계하고, 결재 문서에 일일이 사인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당시 성남시장)에 대해서는 소환조사는 물론이고 가장 기본적인 계좌 추적도 하지 않았다. 이 후보 시장 재선 캠프에 대장동 사업자가 수십억원의 돈을 보냈다는 진술이 나왔는데도 말이다. 직무 유기도 이런 직무 유기가 없다.
이 후보와 민주당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대장동 의혹이 터진 지 3개월이 넘었고, 사태 초기부터 특검 요구가 있었다. 특검만 했어도 이런 비극은 예방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후보는 계속 “검찰 조사가 미흡하다면” “쌍특검을 한다면” “상응하는 책임이 있어야” 등의 조건을 걸어 특검을 피해 왔다. 내년 2월 15일부터 대선 공식 선거운동에 들어가면 모든 수사가 중단된다는 점을 기대하며 뭉개고 있는지도 모른다.
지금 야권에선 “대장동 연쇄 죽음에 보이지 않는 손이 의심된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1조원 돈벼락’ 몰아주기 의혹 여부를 넘어 논란이 조폭 연루설로까지 연결되고 있다. 한참 늦었지만 이 후보는 이제라도 조건 없이 특검을 받는 게 순리다. 부하 직원들의 죽음을 애통해한다면 더욱 그렇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