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영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당장 코로나 팬데믹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일이 시급한 건 사실”이라면서도 “대통령이 돼서 5년 동안 소상공인·자영업자 정책 기조를 어떻게 가져갈지 분리해 공약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공호흡기’만 있고 체질 개선을 위한 처방은 없다는 지적이다. 김장열 한국외국어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이 후보와 비교할 때 윤 후보는 소상공인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겠다는 건지 잘 정리가 안 된 것 같다”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소상공인과 관련해 폐업한 자영업자의 재창업·재취업 지원책을 핵심 공약으로 내놨다. 재창업·재취업을 위한 교육 훈련 참가자를 2000명에서 10만 명으로 확대하고, 교육 훈련 참가자에게 6개월간 월 100만원씩 지급하는 내용이다. 여기에 생계비가 부족할 경우 6개월간 월 100만원씩 보증부 대출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김장열 교수는 “교육 활성화의 취지는 좋지만 6개월 생활비까지 대출해준다면 부작용도 상당할 것”이라고 했다. 이인실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는 그러나 “물을 떠먹여주는 방식이 아닌 물 먹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그나마 시장원리에 맞다”고 반박했다.
이 후보가 플랫폼 기업에 입점한 소상공인에게 단체 협상권을 보장하겠다고 공약한 것을 두고는 취지는 좋으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최한수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는 “단체 협상권이라는 게 소상공인이 노조를 만들 수 있도록 하자는 건데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조미현/정의진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