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112/AA.28467683.1.jpg)
기준시가가 고시된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은 2만7755동, 187만1970호로 2021년과 비교해 동수 기준 15.0%, 호수 기준 19.5% 늘었다. 오피스텔 호수는 2021년 93만4945호에서 93만8204호로 늘었으며, 상업용 건물 호수가 72만9219호에서 93만3766호로 대폭 증가했다.
개별 건물 및 호수의 기준시가 내역은 국세청 홈택스와 손택스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이의가 있으면 1월 3일부터 2월 2일까지 재산정을 신청할 수 있다. 기준시가는 상속·증여세 및 양도세 과세 시 시가를 알 수 없을 때 활용된다. 종합부동산세 등 기타 세금 및 건강보험료와 같은 사회 보험료 부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상업용 건물 중에는 서울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종합상가가 ㎡당 2858만8000원으로 기준시가가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 신당동 청평화시장 2151만원 △서울 종로6가 동대문종합상가 D동 2119만1000원 △동대문종합상가 B동 1759만8000원 △서울 대치동 남서울종합상가 1663만8000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이 결합된 복합용 건물에서는 서울 신당동 디오트가 ㎡당 1306만2000원으로 가장 비쌌으며, 서울 역삼동 노블루체 언주도 1218만5000원을 나타냈다. 서울 대치동 대치클래시아가 ㎡당 976만원, 서울 청담동 아노블리81이 919만4000원, 서울 논현동 N168이 895만5000원으로 뒤를 이었다.
전체 건물 기준으로는 롯데월드타워앤드롯데월드몰 월드타워동이 1조1376억원으로 전국 오피스텔 건물 중 가장 비쌌다. 상업용 건물로는 부산 중동 엘시티 랜드마크타워동(1조2094억원), 복합용 건물 중에는 경기 수원 포레나 광교(9549억원)의 총액이 높았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