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국 증시를 짓누른 요인은 크게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중국 2위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의 디폴트(채무불이행)를 통해 확인된 부동산 시장 침체, 알리바바와 텐센트로 대표되는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에 대한 중국당국의 규제다. 대체로 부동산시장은 회복하지만 빅테크 규제는 지속될 것이란 견해가 많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4분기부터 부동산 대출 규제를 완화하기 시작했다. 인민은행, 주택부 등 유관기관도 ‘부동산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지원한다’는 입장을 잇따라 내놨다. 다만 ‘집은 주거용이지 투기 대상이 아니다’란 큰 정책 기조는 변함없이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황원타오 건설증권 애널리스트는 “부동산 시장을 회복시키면서도 집값은 통제하겠다는 계획이어서 자금이 증시로 더 쏠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앤드루 콜리어 홍콩 오리엔트캐피털리서치 국장은 “민간 기업의 불확실성이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이어서 반도체와 신재생에너지, 탄소중립 등 정부 투자가 집중되는 영역에 관심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JP모간은 중국 소비재와 바이오 주식들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했다. 레베카 장 JP모간 중국주식 매니저는 “중국의 소득 수준이 올라가면서 중장기적으로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며 “브랜드와 유통망을 갖춘 소비 관련 기업들은 인플레이션에도 경쟁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중신증권은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이 홍콩거래소에 2차 상장을 진행하면서 홍콩 증시도 활기를 찾을 것”으로 내다봤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