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494769.1.jpg)
박용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사진) 연구실이 개발한 보행보조 소프트로봇인 ‘LIRO’가 작동하는 원리다. 편마비가 온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을 보조하는 로봇이다. 천과 3차원(3D) 프린터로 제작한 소재로 만들어져 환자가 넘어지더라도 충격을 최소화한다.
2016년 설립된 서울대 소프트로봇 및 바이오닉스 연구소에선 10여 개의 소프트로봇을 개발 중이다. 석·박사과정 학생 22명이 소프트로봇 개발과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연구소의 또 다른 대표 소프트로봇은 선택적 가변강성 웨어러블로봇(SSG)이다. 두께가 1㎝ 남짓한 체크무늬 옷감에 전원을 연결하자 순식간에 거북이 등처럼 딱딱해진다. 전원을 빼자 다시 부드러운 옷감으로 되돌아온다. 이 로봇을 옷 위에 덧대면 유사시 몸을 보호할 수 있고, 장갑에 부착하면 강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로봇을 연구한 최인락 연구원은 “로봇을 소방복에 적용하면 평소엔 활동에 제약이 없지만 건물에 진입할 때는 파편이 떨어져도 의복이 딱딱해져 몸을 보호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손동작과 움직임을 인식하는 인공 피부형 특수장갑도 연구소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다. 얇은 실리콘 장갑 내 액체금속이 전기저항 변화를 감지해 착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파악한다. 특수제작한 인공근육을 붙이는 방면으로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가상환경에서 만난 사람과 악수를 나누면 온기와 촉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연구소는 LIRO 상용화를 위한 정부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이 임상을 담당하고 민간 로봇 업체인 네오펙트가 상용화와 관련한 시장 조사를 맡았다. 연구소에선 동력원의 크기를 줄이는 등 기술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박 교수는 “착용했을 때 안전하면서도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는 등 지금까진 로봇을 두고 하지 않았던 고민이 무궁무진하게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