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507625.4.jpg)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작년 3분기까지 연결 기준 8088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전년 동기(6356억원) 대비 27.2% 늘었다. 시장에선 고려아연이 작년 한 해 1조1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영업이익 ‘1조 클럽’ 가입은 1974년 창사 이래 처음이다. 풍산은 작년 3분기까지 연결 기준 249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전년 동기(677억원) 대비 네 배 가까이 급증했다. 시장에선 풍산이 작년 한 해 1968년 설립 이래 최대인 3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했다.
두 회사 모두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아연, 납 및 구리 가격 상승 혜택을 톡톡히 누렸다.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수입도 상당하다. 고려아연은 정광 제련 과정에서 연간 금 12t, 은 2500t, 황산 150만t가량을 부산물로 얻는다. 고려아연 전체 매출 중 아연과 은 비중은 각각 31.0%와 30.1%에 달한다. ‘산업 사이클을 이겨내는 기업’이라는 별칭처럼 고려아연은 2006년 이후 매년 10%가 넘는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덕분에 재무구조도 탄탄하다. 작년 3분기 기준 현금성 자산만 2조원이 넘는다.
고려아연은 지금을 새 성장동력에 적극 투자할 시점으로 보고 있다. 최윤범 부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비철금속 제련회사라는 틀에서 벗어나 신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폐기물 리사이클링, 2차전지 소재 등 신성장동력을 집중 육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고려아연이 지난달 호주 최대 신재생에너지 기업인 에퓨런 지분을 100% 인수한 것도 신사업 확대 전략의 일환이다.
풍산은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영업 네트워크를 확대해 방산 분야를 더욱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풍산 관계자는 “2차전지 소재 등 각종 신사업 진출은 항상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지금으로선 기존 주력사업을 더욱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려아연과 풍산은 시장에서 ‘은둔의 기업’으로 불렸다. 규모에 비해 기업의 주요 정보가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고려아연은 ‘오너 3세’인 최 부회장(1975년생)이 2019년부터 대표이사를 맡으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작년 12월엔 인사 법무 홍보 등 지원조직을 대폭 늘린 지속가능경영본부도 신설했다. 고려아연은 최기호 창업주 이후 2세들이 차례로 회장직을 맡았다. 5남 중 장남 최창걸 명예회장에 이어 차남인 최창영 명예회장, 삼남 최창근 회장으로 회장직을 승계했다. 최 부회장은 최창걸 명예회장의 아들이다.
풍산은 류진 회장(1958년생)이 20년 넘게 그룹을 이끌고 있다. 2000년 창업주이자 부친인 류찬우 회장의 뒤를 이어 회장에 취임했다. 류 회장은 국내에선 외부 행사 참석을 꺼리며 ‘은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풍산그룹은 류 회장이 건재하기 때문에 후계 구도를 거론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