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660639.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661480.1.jpg)
새로운 방역시스템의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다. 지금은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유전자증폭(PCR) 검사 대상을 60세 이상 고령층 등으로 좁히는 등 고위험군 위주로 챙기겠다는 얘기다. 정부는 오미크론이 이미 우세종이 된 광주·전남·평택·안성 등 네 곳에 오는 26일부터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한 뒤 점차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방역과 관련한 거의 모든 분야에 신(新)시스템이 적용된다. 3T의 첫 번째 항목인 ‘검사’는 △고위험군-선별진료소를 통한 PCR 검사와 △일반인-자가검사 또는 호흡기전담클리닉을 통한 검사 등 투트랙으로 전환한다.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밀접접촉자 △60세 이상 고령층 △신속항원검사 양성자 △의사 소견서 보유자 등으로 제한된다.
일반인이 선별진료소를 방문하면 PCR이 아니라 무료로 제공받는 자가진단키트로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양성이 나오면 곧바로 PCR 검사를 실시한다.
선별검사소 대신 전국 640여 개 호흡기전담클리닉을 방문한 사람도 자가진단키트와 같은 방식으로 신속항원검사를 받는다. 양성이 나오면 그 자리에서 PCR 검사를 추가로 한다. 이때 진찰료 5000원(의원 기준)을 내야 한다.
3T의 마지막 항목인 ‘치료’는 재택 위주로 바뀐다. 그동안 오미크론 확진자에 대해선 생활치료센터 등에서 관리하던 방침을 접고, 이들도 재택치료 대상에 넣었다. 재택치료의 키워드인 ‘먹는 치료제’(화이자의 팍스로비드) 보급도 늘린다. 22일부터 먹는 약 제공 여부를 가르는 연령 기준이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확대된다. 치료 장소 기준도 재택치료자 및 생활치료센터 입소자에서 노인요양시설, 요양병원, 감염병전담병원으로 늘어난다. 이 통제관은 “60세 이상으로 낮추면 투약 대상자가 약 30% 증가할 것”이라고 했다.
방역당국은 팍스로비드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담당약국도 280개에서 46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시·군·구별 1~2개에서 3~4개로 늘어난다. 병상도 확충한다. 이 통제관은 “하루 1만 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해도 감당할 수 있도록 1월 말까지 6944병상을 추가로 확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상헌/이선아 기자 ohyea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