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OECD 회원국의 연간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평균 2.2%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신문이 OECD 38개 회원국 가운데 아직 관련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호주, 콜롬비아, 뉴질랜드 등 3개국을 제외한 35개 국가의 물가를 분석한 결과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는 밥상 물가를 판단하는 대표적 지표로 쓰인다.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는 지난해 5.9% 올랐다. OECD 평균(2.2%)의 세 배에 육박하는 수준인 동시에 터키(24.3%), 멕시코(7.2%)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이다. 중앙은행의 독립성 문제로 최근 물가가 급격하게 치솟은 터키를 제외하면 OECD 34개 회원국의 밥상 물가 상승률은 1.6%까지 내려간다. 한국의 3분의 1 수준이다.
지난해 한국의 밥상 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치솟은 이유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등으로 농축산물 가격이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달걀 가격은 전년 대비 41.3% 올랐고, 파(38.4%), 사과(18.5%), 돼지고기(11.1%) 값도 크게 올랐다. 전 국민 재난지원금 등 정부의 현금성 소비진작 정책도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식료품과 함께 공산품, 에너지 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은 한국이 주요국 대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OECD 35개 회원국의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평균 3.4%로, 한국(2.5%)보다 0.9%포인트 높았다. 한국보다 물가 상승률이 높은 OECD 국가는 미국(4.7%)을 비롯해 총 18개국이다.
다만 유일하게 10% 이상 물가 상승률을 보인 터키(19.6%)를 제외하면 34개 OECD 국가의 지난해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로 조사됐다. 일본은 지난해 -0.3%의 물가 상승률을 나타냈다.
한국의 밥상 물가가 높은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전·월세 등 큰 폭으로 뛴 품목 비중이 작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소비자물가지수 산정 때 전세와 월세는 비중이 각각 5%에도 미치지 못한다. 변동이 크지 않은 휴대폰 이용료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자가 주거비가 반영되지 않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통계청이 지난해 12월부터 소비자물가지수를 개편했지만 이 같은 문제는 개선하지 못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