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677748.1.jpg)
코로나19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도 기업들의 사회공헌 지출은 오히려 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2020년 매출 상위 500대 기업의 평균 사회공헌 지출액은 2019년 대비 0.5% 증가했다. 기업 한 곳당 136억7685만원을 사회공헌을 위해 썼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코로나19 확산 등의 리스크에도 사회공헌 지출만큼은 줄일 수 없다는 게 기업 관계자들의 공통된 이야기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 확산에 따라 S부문에 해당하는 사회공헌 활동은 더 강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692603.1.jpg)
숭실대 사회복지학부는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청소년·노인·장애인 복지 등 다양한 전공의 교수진 13명이 풍부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한다. 복지투어, 워크숍, 사회복지사 1급 수험서 지원, 국제 학술 교류 등 학생들이 폭넓은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692602.1.jpg)
효성그룹은 본사가 있는 서울 마포 지역을 중심으로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있다. 아현동 소외계층을 위해 2015년부터 1년에 두 번씩 생필품 세트를 후원하고 있다. 올해는 참치와 햄 등으로 구성된 400개 세트를 지원했다. 매년 두 차례씩 전달하는 사랑의 쌀은 누적 1만8000포대를 넘어섰다. 마포구 내 취약계층 500가구에 김치를 전달하는 ‘사랑의 김치나눔도’ 10년째 이어오고 있다.
효성은 소외 계층이 문화예술을 누릴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후원 활동을 하고 있다. 또 이들이 예술 활동에도 참여하도록 돕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제11회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 개막식’에서 영화 제작지원금 2000만원을 전달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692604.1.jpg)
편의점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은 ‘2022 가맹점 상생협약’을 통해 가맹점주 보호에 나선다. 경영주와 점포 근무자가 제3자에게 물리적 폭행을 당했을 때 최대 195만원까지 보상금을 지원한다. 롯데제과는 우수 파트너사 임직원에게 상을 주는 ‘동반성장 우수 파트너사 가족의 날’ 행사를 열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1/AA.28676330.1.jpg)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