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교육계에 따르면 수도권 교육감 후보 단일화 추진협의회(교추협)는 이날 ‘서울 중도·보수 교육감 후보 단일화 협약식’을 열었다. 중도·보수 진영에서는 5명의 주자가 뛴다.
2018년 선거에도 출마했다가 고배를 마신 박선영 전 동국대 교수와 조영달 서울대 사범대학 교수가 지난 1일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조전혁 전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의원, 이대영 전 서울교육청 부교육감, 최명복 전 서울시 교육의원도 출마 의지를 보였다.
보수 진영은 2014년, 2018년 선거에서 단일화에 실패해 조 교육감을 내세운 진보 진영에 연달아 교육감 자리를 내줬다. 이번에는 단일화에 성공해 ‘1 대 1’ 대결을 한다는 게 보수 진영의 전략이다. 단일화는 여론조사와 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다음달 30일 단일화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진보 진영에서는 조 교육감이 단독으로 3선에 도전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아직 공식 출마 선언을 하지는 않았지만 유아 의무교육, 중1 학생들에게 스마트기기 보급 등 차기를 노리는 듯한 정책을 잇달아 내놨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의 가장 큰 변수는 조 교육감의 ‘해직교사 특별채용’ 의혹이다. 조 교육감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출신 등 해직 교사 5명을 복직시킨 과정에 부당하게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의 혐의로 그를 불구속기소했다. 이달 첫 재판이 열린다. 법원이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해 조 교육감이 직을 상실하면 차기 교육감 자리는 사실상 무주공산이 된다.
교육감 직선제 이후 처음 투표하는 고3 유권자들의 표심도 선거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019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만 18세로 선거 연령이 낮아진 뒤 열리는 첫 교육감 선거이기 때문이다. 3월 대선도 변수다. 교육감 선거도 지방선거와 함께 대선 결과에 영향을 받을 것이란 게 교육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