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2/01.28810262.1.jpg)
오세훈 서울시장이 오는 6월 지방선거에 출마해 4선 서울시장에 도전하겠다는 뜻을 공식화했다. 올해는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해 민간주택 공급을 늘리고 공공주택의 질을 높이는 데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서울의 마지막 노른자위로 꼽히는 용산 정비창 부지에 대해선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는 공간으로 개발해야 한다”며 공공주택을 위해서만 활용하지는 않겠다는 점을 시사했다.
재건축 규제 완화에 대해선 “서울시가 할 수 있는 건 다했고,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하향,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완화 등 중앙 정부 몫만 남았다”며 “대선 후보들이 규제 완화를 외치고 있어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용산구 용산정비창 개발과 관련해 “서울의 경제활성화를 이끄는데 필요한 마지막 남은 공간으로 여기 만큼 의미있는 곳이 없다”며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상반기 중 발표할 예정인데, 여기에 담긴 내용이 높이·층수 규제 등을 포함해 용산정비창 개발계획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공원 조성이 예정돼 있는 용산 미군기지에 주택 공급을 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선 강하게 비판했다. 오 시장은 “용산 미군기지 환원 문제는 대원칙을 지켜야 한다”며 “주택가격 급등을 이유로 일부 민주당 의원들이 특별법을 발의해 주택을 일정 수량 넣겠다고 하는 것은 시대착오적 계산”이라고 지적했다.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지난해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 일부 개정 법률안’을 발의하고 용산미군기지 부지에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2/01.28810261.1.jpg)
민간 위탁·보조금 사업을 재구조화하는 ‘서울시 바로 세우기’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오 시장은 “10여 년간 질주했던 민간 위탁·보조금 사업을 점검해 올바른 방향으로 가성비를 높이는 건 의무이고 책임이다”라며 “내년까지 ‘서울시 바로 세우기’를 이어가면 상당 부분 바로잡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근 제로페이 운영사인 한국간편결제진흥원과 마찰을 빚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제로페이를 축소한다거나 비중을 낮추거나 하려는 생각은 추호도 없다”고 했다. 서울시가 서울사랑상품권 위탁 운영사업자를 신한컨소시엄(신한카드·신한은행·티머니·카카오페이)으로 교체한 것을 놓고 일각에서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역점사업이던 ‘제로페이 지우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데 반박한 것이다. 서울사랑상품권 결제 수단이 특정 금융사로 제한돼 불편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데 대해선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속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혜경 씨의 ‘과잉 의전’ 논란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정말 엄중하게 인식하고 타산지석을 삼아 서울시에선 그런 실수가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고 대답했다. 오 시장은 최근 한 종합편성채널 프로그램에서 한 출연자가 과잉 의전 사례와 관련해 자신의 명예를 훼손하는 발언을 했다고도 언급했다. 그는 “해당 패널의 발언에 대해 고소장까지 작성했다가 보류시켰다”며 “서울시는 10년 전에도 원칙에 어긋나는 재정지출을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