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2/AA.28799271.1.jpg)
지난해 선보인 14나노 기반 차세대 모바일 D램 ‘LPDDR5X’도 올해의 기대주다. 14나노 LPDDR5X는 기존 제품보다 속도와 용량, 전력소모량 등에서 한층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 해당 제품에 업계 최선단 14나노 공정을 적용해 용량과 소비전력 효율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현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시스템 반도체 중엔 프리미엄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인 ‘엑시노스 2200’이 눈에 띈다. 이 제품엔 AMD와 함께 개발한 GPU(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이 탑재돼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사용자에게 콘솔 게임 수준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초격차 투자를 통해 경쟁 업체들과의 격차를 벌려나갈 예정이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선 14나노 이하 D램, 200단 이상 낸드플래시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시스템 반도체 투자도 계속 확대한다. 2030년까지 171조원을 투자해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운 상태다.
반도체 투자가 집중되는 곳은 평택 신공장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8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공장인 평택 2라인 가동에 들어갔다. 올해 하반기엔 3라인이 완공된다. 클린룸 규모가 축구장 25개 크기인 매머드급 라인이다. 삼성전자는 이곳에 현존 최첨단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미국 투자도 착착 진행 중이다.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새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생산라인을 짓기 시작했다. 2024년 하반기 가동이 목표이며 예상 투자 규모는 170억달러(약 20조4000억원)다. 이는 삼성전자의 미국 투자 중 역대 최대 규모다.
사실상 다른 회사처럼 운영됐던 CE와 IM 부문을 통합한 것은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IT·가전제품 전시회 CES 2022에서 모바일과 가전을 아우르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스마트폰과 가전제품 사업을 모두 영위하는 유일한 글로벌 기업이라는 장점을 살려 다양한 통합 솔루션을 내놓겠다는 구상을 CES 2022를 통해 공개한 것이다.
삼성전자 완제품 사업의 새로운 키워드는 ‘경험’이다. 삼성의 제품을 더 많이 사용할수록 고객이 느끼는 일상의 가치와 경험이 더 풍부해질 수 있도록 고객 경험에 초점을 맞춰 제품과 서비스를 내놓겠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신제품도 착착 준비 중이다. 삼성전자는 10일 ‘삼성 갤럭시 언팩 2022’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기존의 규칙을 깨고 차세대 모바일 경험의 표준을 제시할 ‘갤럭시 S’ 시리즈를 공개할 예정이다. 회사 측은 “사용자들은 야간에도 밝고 선명한 사진과 영상을 자신 있게 촬영할 수 있으며 강력한 배터리와 실행 속도, 유용한 기능을 마음껏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선 포터블 스크린 ‘더 프리스타일’을 필두로 한 라이프스타일 제품군에 기대를 걸고 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