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2/07.14212997.1.jpg)
둘 다 공급난이 원인이지만 본질은 다르다. 마스크 대란은 코로나19가 갑작스레 터지면서 중국산 수입이 막힌 탓이었다. 반면 진단키트 대란은 정부의 안일한 자세에서 비롯됐다. 국내 제조사들이 생산량을 늘리도록 미리 조치만 했더라면 생기지 않았을 일이다. 수급이 꼬이고서야 뒤늦게 제조사들을 닦달하고 있으니 한심한 노릇이다.
오미크론 방역 세부 대책도 마찬가지다. 시행이 임박해서야 발표하기 일쑤였고 걸핏하면 말을 바꿨다. 오미크론 방역의 핵심인 재택치료부터 그랬다. 재택치료 모니터링 대상을 정하는 것부터 삐걱댔다. 60세 이상 고령자, 50대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를 중점관리대상군으로 분류해왔던 방역당국은 모니터링 대상을 60세 이상 고령자와 팍스로비드 처방 환자로 정했다. 50대 기저질환자를 쏙 뺀 것이다. 하지만 반발이 거세지자 시행 하루 전날인 지난 9일 밤 11시에 다시 없던 일로 했다.
일반 재택치료 환자의 비대면 진료비 부담을 놓고도 우왕좌왕했다. 10일 오전 정부는 1회 진료는 무료, 2회부터는 환자가 진료비를 내야 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불과 서너 시간 뒤 환자 부담을 없애기로 방침을 바꿨다.
확진자와 동거인 가이드라인도 대책 시행 당일인 10일 오전에야 공개했다. 그사이 국민은 재택치료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할 수밖에 없었다. 전국 보건소들은 문의전화 폭주로 하루종일 불통 사태를 겪었다.
유럽 등 해외에선 방역 기준을 완화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마스크 착용 의무를 완화하고 격리 의무도 없애는 추세다. 이들은 오미크론 확산세가 한 차례 정점을 찍은 국가다. 백신 접종을 통한 면역과 감염으로 인한 자연면역이 어우러지며 코로나 확산세가 꺾인 것이다. 그 대가로 희생을 톡톡히 치렀다.
이런 와중에 정부는 또 헛발질이다. 방역 상황을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서면 언제든 용기있는 결단(거리두기 완화)을 내리겠다고 했다. 이러니 국민이 오미크론 확산에 경각심을 갖기나 하겠는가. 그 대가는 고스란히 국민이 떠안게 되는데도 말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