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2월 15일 13:22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2/01.28925837.1.jpg)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기업 최고경영자(CEO)의 다수가 올해 경제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이 최근 실시한 ‘2022년 경제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국내 기업 CEO 및 임원 가운데 향후 경제전망을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지난해 29%에서 올해 45%로 대폭 높아졌다. '긍정적'이란 전망은 지난해 42%에서 올해 32%로 낮아졌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열린 ‘2022 EY한영 신년 경제전망 세미나’에 참석한 국내 기업 CEO와 고위 임원 31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사업 규모가 작을수록 경제 상황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자본금 5조원 이상의 회사들 중에서는 부정적 답변이 39%에 그쳤지만, 자본 5000억원 미만의 기업 경영자들은 부정적 답변이 과반수인 51%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지정학적 갈등과 주요국의 성장 둔화 및 긴축 기조로 인해 대외적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코로나19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커질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자는 17%에 그쳤다.
금융업계가 가장 비관적으로 경제 상황을 전망했다. 설문 응답자 중 29%를 차지한 금융업 CEO 및 임원들 중에서는 과반수인 53%가 올해의 국내 경제 전망에 대해서 부정적이라는 예상을 내놓았다.
기업들의 올해 경영에 대한 자신감 역시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올해 자사의 경영 실적이 ‘작년보다 성장’할 것으로 본 기업인은 64%로 작년 대비 7%포인트 낮았다. 다만 ICT, 바이오, 미디어·엔터 부문은 자본 규모와 무관하게 실적을 긍정적으로 예상하는 답변이 압도적이었다.
최재원 EY한영 EY-파르테논 부문장은 “향후 3년간 기업 간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욱 극명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