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129995.1.png)
2013년 타이틀리스트 어패럴의 등장은 한국 골프산업의 역량을 한 단계 올려놨다. 아쿠쉬네트코리아가 주도해 제품 개발부터 생산까지 모두 한국에서 책임진 타이틀리스트 어패럴은 이전에 없던 ‘프리미엄 퍼포먼스 어패럴’ 시장을 창출해냈다. 한국에서 만든 골프웨어가 중국과 일본으로 수출되는 성공 신화를 썼다. 타이틀리스트 어패럴의 성공 모델에 자극받은 후발 주자들의 참여가 이어졌고, 한국은 글로벌 골프웨어 시장의 리더로 우뚝 섰다. 아쿠쉬네트코리아가 단순히 미국 브랜드의 한국지사에 그치지 않고 골프산업의 주역으로 인정받는 이유다.
유행에 민감하면서도 품질에 까다로운 한국 소비자는 골프웨어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최고 심사위원이었다. 여기에 섬세하고 정교한 실력을 갖춘 국내 의류 생산 인프라는 프리미엄 어패럴을 만들어낼 최적의 환경이었다.
국내 골퍼에게 가장 잘 맞는 핏과 디자인, 혹서기와 혹한기에도 라운드를 할 수 있는 고기능성 골프웨어의 등장은 한국 골프웨어 시장을 완전히 바꿔놨다. 프로선수들만 입는 줄 알았던 퍼포먼스 골프웨어는 아마추어 골퍼들의 뜨거운 지지를 받으며 골프웨어의 대세로 자리잡았다.
타이틀리스트 어패럴은 한 번 더 도전에 나섰다. 지난해엔 더 고급스럽고 완벽한 퍼포먼스를 내는 프리미엄 퍼포먼스 골프웨어 투어핏S를 새로 내놨다. 타이틀리스트 어패럴 관계자는 “기존의 퍼포먼스 골프웨어에서 한층 더 차별화되는 고급 라인을 원하는 열정적인 골퍼들의 요청이 많았다”며 “더 엄선된 소재와 고급스러운 디자인, 디테일한 설계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타이틀리스트의 골프 모자에는 캡 부분에 마그넷이 적용되어 있다. 볼 마커를 붙이는 순간 하나하나가 골퍼의 퍼포먼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아이디어가 반영된 것이다. 캐디백의 포켓은 모든 골퍼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성인 남성의 평균 크기 손이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와 형태로 제작한다. 포켓은 지퍼가 아니라 마그넷으로 열고 닫도록 디자인했다.
골프 모자는 어느 정도 사용하면 누렇게 변색되곤 한다. 타이틀리스트 기어사업부는 변색의 원인을 찾아 원재료와 제작 과정을 샅샅이 분석했고, 스티치 실의 문제라는 점을 찾아냈다. 스티치 실, 캐디백의 주머니 하나 허투루 만들어내지 않는 집요함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타이틀리스트 기어사업부 관계자는 “제품의 디테일까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개발하기에 액세서리가 아니라 기어(장비)라고 자신있게 이름을 내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아쿠쉬네트코리아는 FJ의 역사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었다. 2017년 한국에 기반을 둔 어패럴 개발팀을 구성한 것이다. 앞서 타이틀리스트 어패럴의 성공에서 얻은 노하우와 자신감, 디자인과 소재에 까다로우면서도 수준 높은 안목을 갖고 있는 한국 소비자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3년간의 조사와 연구개발을 통해 2019년 FJ어패럴이 첫선을 보였다. 타이틀리스트 어패럴이 퍼포먼스 중심 골프웨어의 대세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FJ는 보더리스를 전면으로 내세웠다. 일상과 필드의 경계를 없애 일상에서도 캐주얼 의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물론 퍼포먼스도 놓치지 않았다. 편안한 디자인으로 보일지라도 곳곳에 퍼포먼스를 끌어올리는 요소가 숨어있는 ‘캄테크’를 적용했다.
세련되고 깔끔한 스타일로 필드는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골프웨어의 등장은 여성골퍼와 MZ세대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다. 출시 첫해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두 자릿수의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FJ 한국사업부는 지난해 FJ 세계 지사 중 가장 뛰어난 성과를 올렸고 ‘올해 최고의 FJ 마켓(International Market of the Year 2021)’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