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3월 10일 07:27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227387.1.jpg)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급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는데 사회(S) 분야에 대한 리스크(위험 요인) 관리가 가장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 따르면 2018~2021년 간 ESG 중 한 분야 이상에서 등급 조정 대상이 된 기업은 총 134곳으로 나타났다. 등급 조정을 받은 기업 중 약 절반은 1회에 그치지 않고 2회 이상 등급 조정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유가증권 시장에 속한 기업이 대부분(117곳)으로, 업종으로 보자면 자본재가 27곳으로 가장 많았다. 소재 17곳, 자동차·자동차 부품 13곳, 은행 11곳 순이었다.
최근 4년 간 총 248건의 등급 조정이 이뤄졌는데, 등급 조정 내용을 보면 환경 관련 안건이 10.88%(27건), 지배구조 관련 안건이 40.32%(100건), 사회 관련 안건이 48.79%(121건)으로 분석됐다. 환경 분야의 경우 오염·유해물질을 무단으로 배출한 경우나 배출로 폭발 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대다수였다.
사회 분야는 환경과 유사하게 안전 사고 관련 내용이 절반을 차지했다. 불공정 거래나 경쟁, 부당 노동 행위 등도 포함됐다. 지배구조 분야에선 전현직 임원의 횡령·배임 혐의로 등급이 조정된 사례가 다수였다. 공정거래위원회나 증권선물위원회의 제재도 포함됐다.
박나온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선임연구원은 "동일한 이슈에 대해 등급 조정이 반복적으로 이뤄지는 기업은 지속 가능성을 해칠 위험이 있는 것"이라며 "기업은 전사적 차원에서 관련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도록 재발방지 대책과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