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무효 처리된 투표수는 30만7542표(0.90%)다. 이번 대선의 무효표는 1997년 15대 대선의 40만195표 이후 25년 만에 가장 많다. 또한 윤 당선인과 이 후보 간 득표 수 차이인 24만7077표(0.73%)보다도 많은 수치다.
이렇게 대량의 무효표가 나온 데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표의 뒤늦은 사퇴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두 후보는 모두 지난달 25일 투표용지가 인쇄된 뒤 윤석열 당선인과 이 후보를 각각 지지하면서 후보직에서 물러났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 투표용지를 인쇄해 배부하는 사전투표에선 두 후보 이름 옆에 ‘사퇴’라는 글자가 적혀 있었다. 하지만 미리 인쇄된 투표용지를 사용하는 본투표에선 이런 표시가 없었다. 지난 9일 본투표 날에는 경기 지역 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투표용지에 안 후보 이름이 있다”며 투표용지를 찢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두 후보가 사퇴를 선언하기 이전인 지난달 23일에서 28일 사이 치러진 재외국민 투표에서도 다량의 무효표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 두 후보에게 행사된 표는 모든 무효표 처리가 이뤄졌다. 사전투표 과정에서 코로나19 확진·격리자 투표가 부실하게 치러진 것이 무효표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 후보 지지자가 1·2위 후보 간 표 차이보다 무효표가 더 많다는 이유로 재검표를 요구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 9일 민주당 개표상황실에서는 일부 의원이 투표참관인으로부터 받은 무효표 사진을 기자들에게 보여주며 “어떻게 이 표가 무효표인가”라며 문제를 제기하는 일도 있었다.
전범진 기자 forwar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