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슨 청소기의 비밀, 레이저 비추니 안 보이던 먼지 드러나

입력 2022-03-11 16:00   수정 2022-03-11 20:21


“눈에 안 보인다고 먼지가 없는 것일까요.”

조앤 강 다이슨 미생물학 연구소 수석 연구과학자가 최근 출시한 무선 청소기 ‘V15 디텍트’를 소개하면서 꺼낸 얘기다. 그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자들이 집을 청소하는 빈도는 늘었지만, 눈에 먼지가 보일 때 청소기를 켜는 생활패턴은 바뀌지 않았다”며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다가 V15 디텍트를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11일 다이슨에 따르면 한국 소비자 중 54%는 집안에 먼지가 눈으로 보일 때 청소한다. 전 세계 소비자 평균값인 44%보다 10%포인트가량 높은 수치다. 다이슨은 한국을 포함한 11개국 1만2309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청소 패턴을 조사해 이런 소비자들의 행동 패턴을 찾아냈다.



다이슨은 이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난해 안 보이는 먼지를 볼 수 있는 레이저 장비를 탑재한 V15 디텍트를 내놨다. 이 제품엔 LCD(액정표시장치) 창이 달려 있어 먼지 흡입량을 숫자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이슨은 20년 전 미생물을 연구하는 별도 연구·개발(R&D) 조직인 미생물학 연구소(Microbiology Lab)를 세워 각국의 먼지와 알레르기 물질을 연구하고 있다. 집안의 먼지를 채취해 분석하고 연구하는 게 이들의 임무다.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연구하는 업무도 병행하고 있다.

이 연구소의 다음 타깃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인 알레르겐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비듬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 2명 중 1명 이상이 반려동물과 침대를 함께 쓰지만, 정기적으로 매트리스를 청소기로 청소하는 소비자는 30% 이하다.

조앤 강 연구과학자는 “다이슨은 세계 유일의 먼지 전문기업”이라며 “한국을 포함한 다양한 나라에 대한 먼지 연구를 지속해서 수행하고 연구의 결과를 새 제품에 꾸준히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