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328679.1.jpg)
▶한자풀이
殺: 죽일 살
身: 몸 신
成: 이룰 성
仁: 어질 인
자신의 몸을 죽여 인(仁)을 이루다
자기를 희생해 옳은 도리를 행함
- 《논어(論語)》
유가(儒家)를 관통하는 핵심어는 인(仁)이다. 인은 효(孝) 충(忠) 지(智) 용(勇) 예(禮) 공(恭) 등을 포괄하는 완전한 덕이다. 유교의 근본으로, 쉽게 이룰 수 없는 최고의 덕목이다. 공자는 당시 누구에 대해서도 ‘인(仁)’의 경지를 인정하지 않았고, 그 자신도 그 경지를 자처하지 않았다.
공자는 사람들이 예를 행하지 않는 까닭을 자신의 욕구를 따르기 때문이라고 여겼다. 따라서 예를 실천하려면 반드시 극기(克己), 즉 자신과 싸워서 이겨야 한다고 했다. 공자가 말하는 군자는 바탕과 형식을 고루 갖춘 사람으로, 인 역시 바탕과 형식을 모두 아우른 ‘완전한 덕(全德)’을 이른다.
《논어》 위령공편에는 인을 보는 공자의 시선을 엿볼 수 있는 구절이 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삶을 구하려 인을 해치는 일이 없고 몸을 죽여서 인을 이룬다’고 했다. 지사(志士)란 도의(道義)에 뜻을 둔 사람을 일컫고 인인(仁人)이란 어진 덕을 갖춘 사람을 말한다. 그러므로 지사와 인인은 삶이 소중하다고 하여 그것 때문에 지(志)나 인(仁)을 잃는 일은 절대로 없다. 오히려 때로는 자기의 목숨을 버리면서까지 인을 달성하려 한다(殺身成仁).”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AA.27975272.1.jpg)
공자는 “자기 마음을 미뤄 남을 헤아리고, 자기가 싫은 것을 남에게 시키지 않는 것이 곧 인을 실천하는 방법이다”라고 했다. 또 “인이 멀리 있다고 여기는가. 내가 인을 바라기만 하면 인은 바로 곁에 있다”고 했다. 유가가 강조하는 실천의 덕목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세상의 발걸음은 이익을 좇는다. 하지만 나를 버리면서까지 좇아야 할 것들은 세상에 별로 없다. 모두의 각자는 다 세상의 중심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328680.1.jpg)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