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사이 대내외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이 내년 말까지 연 2.75%까지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전망 속에 지난 16일 금리 인상(연 0.25~0.50%)을 시작했다. 영국 기준금리는 그제 연 0.75%로 인상돼 코로나 이전 수준이 됐다. 40년 만의 인플레이션 우려에 각국의 ‘돈줄 죄기’가 본격화한 것이다.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줄 잇는 금리 인상이 어떤 파장을 미칠지 예단하기 어렵다. 한국도 이런 추세를 따라 기준금리를 올리면 1800조원이 넘는 가계빚의 이자 부담이 연간 40조원 더 늘어난다는 보고서도 있다. 종잡을 수 없는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러시아의 디폴트 가능성, 각국 수출 제한에 따른 원자재 가격 폭등, 공급망과 물류 마비 등 산 넘어 산이다.
이런 상황에서 물가와 금융 안정을 책임지는 한은 총재의 역할은 더욱 막중하다. 금융통화위원회가 합의제 의결기관이고 총재 부재 시 금통위원 중 한 명이 의장을 대신 맡게 된다는 설명이지만, 한은 조직 불안과 정책 실기(失機) 우려까지 잠재우긴 어렵다. 내달 14일 또는 5월 25일 금통위 회의까지 총재 부재가 길어지면 물가 대응 등 통화정책에 예상치 못한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 새 정부는 한은 총재 없이 경제정책 기조를 가다듬어야 할 판이다.
공공기관 알박기 인사 논란 등으로 신·구 권력 간 갈등의 골이 깊어졌지만, 이를 핑계로 한은 총재 인선을 마냥 미뤄선 곤란하다. 한은 총재 임기 만료가 임박했는데 후임 인선을 늦춘 것이 새 정부 의중을 반영하기 위한 취지였다면, 이제 와서 ‘인사권’ 운운하는 것도 군색한 논리다. 정부는 당선인 측과의 합의를 통해 하루빨리 후임 인사를 단행해야 한다. 경제 불확실성을 하나라도 줄이는 게 절실할 때 아닌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