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AA.29344570.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347725.1.jpg)
윤 당선인은 “오는 6월께 (주한미군이 국방부 주변) 미군기지 부지를 반환하면 즉시 시민공원으로 개방하고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청사의 최소 범위만 백악관같이 낮은 펜스를 설치하고, (집무실 주변까지) 시민들이 들어올 수 있게 할 생각”이라며 “공원 잔디밭에서 결혼식도 할 수 있다”고 했다.
국민과의 소통 창구로 기자실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현재 청와대 본관과 청와대 기자실(춘추관)의 거리가 멀다고 지적하면서 대통령 집무실이 입주할 용산 청사 1층에 기자실을 두겠다고 했다. 윤 당선인은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사안이 있다면 언제든지 기자들을 만나서 설명하겠다”며 “보안 수칙만 잘 지켜주면 기자들을 통해 국민과 소통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했다.
대통령실의 국방부 청사 이전이 확정되면서 청사를 이용하고 있던 국방부 핵심 부서들은 합동참모본부 청사와 국방부 별관(구청사), 서울 내 군부대 등으로 옮겨가게 됐다. 합참은 남태령에 있는 수도방위사령부로 이전할 계획이다.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는 대통령 집무실과 같은 층에 비서실장실을 비롯해 정무·공보를 맡은 비서진의 업무 공간을 둘 방침이다. 윤 당선인은 “현재 청와대는 본관과 비서동이 분리돼 있어 대통령과 참모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했다”며 “이를 개선하고 원활한 소통과 업무의 효율을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 집무실 명칭은 국민 공모를 할 방침이다.
다만 대통령 출퇴근 때마다 경호 등의 이유로 교통 통제가 이뤄질 경우 국민들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 윤 의원은 “현재는 (신축을) 검토하지 않았지만, 대통령이 밖에서 출퇴근하는 게 교통통제 등 시민 불편이 계속해서 야기된다면 집무실 근처에 관저가 있는 게 맞지 않느냐는 검토는 있었다”고 밝혔다.
외빈 환영행사 등에 이용되는 영빈관은 주한미군으로부터 반환받을 용산공원 부지에 신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윤 당선인은 밝혔다. 신축 전에는 기존 청와대 영빈관이나 본관 건물을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