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ZA.20174979.1.jpg)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실무협의를 맡은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내일 만나 세부 사항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선 실무협의가 다시 진행되면서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 일정도 조만간 합의가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16일 첫 회동 불발 이후 신구권력의 대치 상황을 이어가는 것은 양측 모두에게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무슨 조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조건 없는 회동 의지를 밝혔다. 윤 당선인 측 김은혜 대변인도 "국민들 보시기에 바람직한 결과를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한 바 있다.
실제로 청와대나 국민의힘 안팎에선 회동 일정이 이르면 주초, 늦어도 주 중반에는 만남이 성사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하지만 반대 편에서는 낙관할 수만 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청와대는 윤 당선인 측이 회동 의제로 시사했던 인사 협의나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등을 요구하고 나선다면 회동이 어렵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문 대통령의 메시지도 '조건 없이 일단 만나자'는 데 방점이 찍혀 있는 만큼, 인사 문제 등에 대한 협조 등 일정한 조건을 수용해야 하는 상황은 청와대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것이다. 어렵사리 만난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합의를 끌어내기보다 덕담을 주고받는 수준에서 회동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러한 대목에서다.
여기에 윤 당선인이 이날 발표한 대통령실 집무실 이전계획과 관련해 당선인 측과 청와대 측의 사전 조율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도 변수가 될 수 있다. 향후, 이 사안에 대해 청와대와 당선인 간 협조가 잘 이뤄질지는 지금으로선 예측하기 힘들다. 이에 대한 견해차가 회동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동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