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410057.1.jpg)
여행·먹방 전문 유튜버 곽튜브(본명 곽준빈)는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에 위치한 전세 9000만 원짜리 집을 본 후 화들짝 놀랐다. 그는 "그래도 1억 대 전세를 구한다는 것에 대해 굉장히 뿌듯하게 생각하고 왔는데 난 어디로 가야 하느냐"며 좌절했다.
곽튜브는 최근 '1억으로 미쳐버린 서울 집 구하기 현실 버전'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그는 "신촌에 월세를 구한 적이 있는데 여행을 6개월씩 다녀오니 생돈이 나가더라. 아예 전세로 집을 찾아놓고 여행을 갈 때 편하게 하려고 한다"며 부산에서 서울로 이사를 결심하게 된 계기를 밝혔다. 그는 "집은 발품을 많이 팔면 좋다고 해서 2주 동안 서울의 정말 많은 부동산을 다녀왔다"고 설명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416278.1.jpg)
곽튜브는 지난해 한차례 거주한 경험이 있는 신촌부터 돌았다. 그는 부동산에 들어가 호기롭게 "전세 1억에서 대출되면 2억까지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돌아오는 답은 "전세 대출이 되는 곳은 거의 없다"였다.
부동산 중개인 A 씨는 "최소 투룸을 원하셨는데 딱 학생들이 살만한 방이 1억 1000만원에 나와 있다"며 "지난해 코로나 때문에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아서 월세가 굉장히 낮았는데 지금은 다시 돌아왔다. 비싼 월세를 주고도 들어갈 수 있는 방이 없다. 신촌은 솔직하게 이 금액으로 절대 못 찾는다고 보는 게 맞다"고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410484.1.jpg)
곽튜브는 "대출도 안 되고 집도 없고…"라며 좌절했다. 그는 "지난번보다 좋은 조건으로 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신촌에) 입성 한 건데 난 어디로 가야 하느냐. 신촌은 신들만 사는 마을 아니냐"고 토로했다.
A 씨는 "1억으로 전세를 찾으려면 지상층은 힘들다. 1억에 월세 조금 내면 지상으로 올라갈 수 있다. 이 정도에선 신림 쪽으로 가면 대출 가능한 집이 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곽튜브는 '자취의 성지'라 불리는 신림으로 향했다. 부동산을 찾은 그는 사정을 설명했고 "신촌에선 1억 전세는 어렵다고 하더라"라고 말문을 열었다.
중개인 B 씨는 "서울 전체 평균 원룸이 1억 5000만 원"이라며 "관악구, 동작구도 평균보다 더 웃돈다. (자취생들이) 왜 관악구에 많이 오냐면 원룸 다가구가 제일 많아 싸진 않은데 다양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곽튜브는 "원룸은 아예 생각도 안했다. 투룸, 쓰리룸 같이 큰 집을 원한다. 신축, 풀옵션도 관심 없다"고 했다.
먼저 봉천동에 위치한 전세 9000만 원짜리 매물을 보게 됐다. 문을 열고 들어서자 곽튜브는 어이없는 듯 "허?"라며 너털웃음을 지었다. "진짜 좁다. 끝이죠, 이게?"
"몇 평이냐"는 질문에 B 씨는 "이 정도면 개별 등기가 따로 없어서 (주인들이) 호가 부르듯 말씀하시는데 두평 반 정도"라고 귀띔했다.
곽튜브는 "진짜 너무한다"며 집을 둘러봤고, 좁은 집 한켠에 놓인 스타일러를 발견했다. 그는 "두 평짜리 집에 스타일러를 뒀다. 이게 옵션이냐"며 물었다. B 씨는 "이 집의 매력은 스타일러"라며 "(주인분이) 집을 잘 봐달라는 의미로 하나씩 넣어놓은 것 같다"고 답했다.
방에 곽튜브가 눕자 가구를 놓을 수 없을 정도로 비좁아 보였다. 가로로 누웠더니 정수리와 발끝이 양 벽에 닿을 정도였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410514.1.jpg)
"이런 집도 잘 나가냐"고 묻자 B 씨는 "역세권에 전세라 잘 나간다. 어찌 됐든 고시원 들어가는 것보다 나으니까"라며 "좋아서 오는 게 아니다. 자기 조건에서 최선을 찾는 것"이라고 귀띔했다. 곽튜브는 "잔인하다"며 말을 맺었다.
비슷한 상황인 두 번째 집까지 본 곽튜브는 "다른 1억대 집 준비하는 거 안 보여주셔도 된다"며 "대책을 세워야겠다"고 했다.
곽튜브가 원했던 형태인 투룸 매물도 봤다. 전세가는 무려 2억 5000만 원이었다. B 씨는 "언덕에 지어진 집이라 반지층"이라며 "똑같이 생긴 게 지층으로 가면 1억 2000~3000만 원 정도 더 올라간다"고 말했다.
"솔직히 추천하시냐"고 묻자 B 씨는 "추천은 못 하겠고 현실이니 소개를 할 수밖에 없다"고 솔직 고백했다.
곽튜브는 "감을 잡았으니 중심가는 고집 안 하고 지하철 인근 지역으로 찾아봐야 할 것 같다"며 "생각한 것보다 집 구하는 게 더 어렵다"고 했다.
그는 은평구, 강서구 등 10여군데의 집을 돌아봤지만, 가격대가 맞으면서 마음에 드는 집을 발견하지 못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3/01.29410055.1.jpg)
북가좌동, 홍제동, 보광동까지 발품을 판 곽튜브는 결국 화곡동에서 전세가 아닌 반전세로 집을 구했다.
양문형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드레스룸 등이 풀 옵션인 전용면적 18평의 투룸이었다. 보증금 3000만 원에 월세 70만 원이었으나 집주인과 합의 끝에 보증금을 1000만 원 올리고, 월세를 5만원 낮춰 계약했고 이사를 마쳤다.
곽튜브는 "집에서 잘 안 나가는 스타일이다. 일 있을 때만 나가니 집이 좋은 게 나은 것 같더라. 잘 고른 것 같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 3가 지난해 1월부터 10월 말까지 실거래된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월세를 조사한 결과조사한 결과 전용 30㎡(9.075평)이하 원룸의 평균 전세가격은 1억 6361만원이었다. 최저임금으로 서울에 전셋집을 구하기 위해선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약 7년6개월을 저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대신 월세를 택한다고 하더라도 주거비에 대한 부담은 여전하다. 전용 30㎡이하 원룸 평균 월세는 40만원, 보증금은 2703만원으로 나타났다. 최저임금(8720원)을 받는 근로자가 서울에서 원룸 자취를 할 경우 이 가운데 21.9%를 주거비로 지출하게 된다.
네티즌들은 "70만 유튜버가 이 정도인데 평범한 2030은 어떨지. 항상 즐겁게 보고 있는데 이번 영상은 마냥 즐겁진 않다", "집 구하는 거 보고 너무 공감된다. '진짜 너무하다'라는 말이 가슴에 꽂힌다", "사회 초년생들에게 참 잔인한 세상" 등 공감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