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환 미국 캔자스대 사회학과 교수가 최근 한국사회학회에 발표한 논문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대학원 진학 확률의 성별 격차’에 따르면 2010~2018년 4년제 대학 졸업자 중 대학원에 진학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13.5%였다. 이 중 남성은 14.7%, 여성은 12.2%로 남성이 여성보다 2.5%포인트 높았다.
김 교수 측에 따르면 소득이 적을수록 여성 대학 졸업자는 같은 배경의 남성보다 대학원 진학률이 떨어졌다. 소득 하위 10% 분위에서 남성의 대학원 진학 확률은 13.5%, 여성은 11.2%로 격차가 2.4%포인트 나는 데 비해 소득 상위 10%에서는 남성 14.9%, 여성 13.8%로 격차가 1.1%포인트로 줄어들었다. 김 교수는 “여성의 대학원 진학 확률은 남성보다 가족의 소득 등 계층 격차에 더 민감하다”고 설명했다.
대학원 진학률 격차는 지역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고교 소재지별로 살펴보면 서울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원 진학률이 16.0%로 가장 높았고, 호남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학률이 12.0%로 가장 낮았다. 서울에서도 강남 3구 고등학교 졸업자는 대학원 진학률(18.4%)이 다른 서울 지역보다 높았다.
부모의 교육 수준도 대학원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초대졸 이하일 경우와 비교해서 부모가 대학원을 졸업했을 때 자녀의 대학원 진학 확률이 2.5배 가까이 높았다. 김 교수는 “이 같은 대학원 진학의 성별 차이는 남녀 성향 차이에 따른 개인적 선택의 결과일 수도 있고, 대학원 졸업 후 노동시장의 구조적 제약이 반영된 결과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