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의 ‘로카 라이킷 잇’은 배달 앱(배달의민족, 쿠팡이츠, 요기요)과 음식점, 카페, 쇼핑 멤버십(쿠팡 로켓와우, 네이버플러스) 등 결제금액의 60%를 월 1만3000원 한도에서 할인해 주는 상품이다. 전월 실적이 40만원 이상이면 이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연회비도 1만원으로 저렴한 편이다. 현대카드의 ‘Z 온택트’ 카드도 배달 앱 10% 할인, 네이버 쿠팡 마켓컬리 70%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한다. 배달 앱과 커피전문점, 델리(외식 브랜드) 중 매월 가장 많이 쓴 영역에서 30%(월 최대 한도 1만원)를 할인해 주는 삼성카드의 ‘아이디 온’ 카드도 이 같은 수요를 겨냥한 상품이다.
격리 생활을 하다 보면 자연스레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 동영상 콘텐츠 소비가 많아진다. 우리카드의 ‘카드의정석 언택트’는 영상(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과 음원(멜론), 전자도서(예스24) 등 정기 결제 시 20%를 할인해 준다. 하나카드의 ‘멀티온’ 카드에는 배달 앱 3% 적립, 디지털 구독(넷플릭스, 쿠팡 로켓와우 등) 4% 적립 등의 혜택이 적용됐다. ‘카카오페이지 롯데카드’는 웹툰과 웹소설, 영화, 드라마 등 카카오페이지의 콘텐츠 결제 시 5%를 캐시백해주는 상품이다. 신한카드에는 넷플릭스 20%, 마켓컬리 10%, 배달의민족 5% 등 포인트 적립 혜택이 담긴 ‘퍼즐카드’가 있다.
KB국민카드가 이달 내놓은 ‘톡톡’ 알파벳 시리즈 카드도 눈여겨볼 만하다. F(패션), O(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M(쇼핑 멤버십), D(딜리버리) 등 4개 종류로 구성됐다. 카드별로 결제금액의 50~100%를 1만원 한도에서 할인해 준다. 톡톡 시리즈 카드를 2장 이상 발급받아 사용하면 카드별 이용 실적을 합산해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가령 F카드와 O카드를 사용한다면 카드별로 월 30만원 실적을 맞춰쓰는 게 아니라 2개 카드의 합산 이용금액이 평균 30만원을 넘으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