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과학관과 함께 하는 과학 이야기 (7)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섬 하와이에는 마우나로아 관측소라는 곳이 있다. 이 관측소는 지구 상에서 가장 오래 전부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한 곳이다. 이 곳에서 관측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연도별로 기록한 그래프를 ‘킬링 곡선(Keeling Curve)’이라고 한다. 관측을 시작한 연구자인 찰스 데이비드 킬링의 이름을 따 그렇게 불리고 있다.첫 관측은 1958년 3월이었다. 그 해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315?이었다. ?은 공기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00만분의 1을 뜻한다. 이 그래프는 꾸준히 상승해 올해 2월 419?까지 올랐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 것이다. 예전에는 과학 교과서에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0.03%라고 나왔었는데 이제는 0.04%로 수정돼야 하겠다. 2013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이미 400?을 돌파했으니까.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63853.1.png)
그래프를 좀 더 자세히 보면 일정한 간격으로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는 모습도 보인다. 최근 5년간(2017년 1월~2022년 2월)의 그래프를 확대해 보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매년 5월에 가장 높고, 9월에 가장 낮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식물의 광합성에 따른 결과다.
북반구 온대 지역의 식물이 광합성을 활발히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봄~여름, 즉 5~9월엔 이산화탄소 농도가 줄어들었다가 가을~겨울, 즉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는 광합성이 약해지면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다시 증가하는 것이다. 계절에 따른 변화는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63855.1.png)
킬링 곡선은 단순히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러 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는 지구 평균 기온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킬링 곡선의 상승은 곧 지구 기온 상승을 의미한다.
지구 역사에서 기온이 급격하게 변화한 시기에는 대멸종과 같은 큰 사건이 있었다. 킬링 곡선은 앞으로 지구와 인간을 포함한 지구 상 생명체에 어떤 미래가 닥쳐올 것이며, 우리는 미래를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고민을 던져주고 있다.
정원영 국립과천과학관 환경연구사<hr style="display:block !important; margin:25px 0; border:1px solid #c3c3c3" />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563901.1.png)
환경교육 석사·박사
저서
'2022 과학은 지금'
'사이다 1: 바다탐험X인어공주'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