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609585.1.jpg)
14일 정부와 인수위 등에 따르면 인수위는 재정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여러 방안을 국정과제에 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교육재정교부금은 논의 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교육재정교부금은 내국세의 20.79%가 재정 소요와 무관하게 무조건 초중등 교육을 위해 편성돼 지방교육청에 지급되는 예산이다. 인구가 급격히 팽창하던 산업화 시기에 인적 자본에 대한 국가의 장기적 투자가 보장돼야 한다는 취지로 1972년 현재와 같은 내국세 연동제 방식의 교육재정교부금 제도가 처음 시행됐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609579.1.jpg)
하지만 최근엔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학령인구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어 교육재정교부금을 내국세에 연동해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방식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 예산을 필요로 하는 학생은 줄어들고 있는데 경제 성장에 따라 세금이 더 걷혔다는 이유만으로 교육 예산이 필요와 무관하게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편성한 교육재정교부금 예산은 지난해 53조2000억원(본예산 기준)에서 올해 65조1000억원으로 1년 만에 11조9000억원(22.4%) 증가했다. 교육 예산이 그만큼 많이 필요해서가 아니라 올해 세금이 작년보다 더 많이 걷힐 것으로 예측된다는 이유만으로 초중등 교육 예산이 12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특히 올해엔 정부가 지난해 다 쓰지 못한 5조2000억원의 예산(세계잉여금)이 교육재정교부금으로 추가로 지급될 예정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609580.1.jpg)
안종석 가온조세정책연구소장은 "교육재정교부금이 우발적으로 급격히 늘어난 탓에 교육 현장에선 교육 발전을 위한 장기적 투자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그때그때 돈을 소진하기 위한 현금성 지출을 늘리게 된다"며 "예산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해선 내국세 연동제 방식의 교육재정교부금 제도를 반드시 손봐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교육예산을 당장 줄이진 못하더라도 경제성장률이나 물가 상승률에 따라 점진적으로 교육예산을 늘려가는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교육재정교부금을 '경상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에 연동해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꾸면 교육재정교부금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면서도 2021에서 2060년까지 40년간 총 1046조8000억원의 예산이 절감된다고 분석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609582.1.jpg)
교육재정교부금 개혁이 필요하다는 학계의 지적은 학령인구 감소 현상이 본격화한 문재인 정부 임기 내내 꾸준히 제기돼왔다. 국가 예산 편성을 담당하는 기획재정부 역시 공개적으로 내국세 연동제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홍남기 기재부 장관은 지난해 10월 국회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에 참석해 "교육재정교부금 교부율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누차 해왔고, 합리적으로 개편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01.29628391.1.jpg)
인수위가 국정과제 초안에 교육재정교부금의 개편과 관련한 내용을 담지 않은 것도 오는 6월 1일로 예정된 지방선거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한 국책연구기관 연구원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부가 지방에 내려보내는 돈을 줄이는 방향의 개혁안을 내놓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득권화된 교육계의 표심도 무시하긴 어려웠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인수위를 비롯한 윤석열 당선인 측이 누차 재정건전성 회복과 지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해온 만큼 교육재정교부금의 구조적 문제를 끝까지 외면하면 위선(僞善)과 다름 없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는 지난 3일 "재정은 국가 안정 정책의 최후 보루이기 때문에 항상 건전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 추경호 기재부 장관 후보자도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악화된) 재정건전성을 회복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임기 초반 대통령의 강력한 개혁 의지가 없으면 현재와 같은 교육재정교부금 제도는 정치권의 압력에 종속돼 계속 비효율적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