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204/AA.29699237.1.jpg)
지난 3월 무역수지는 4123억엔 적자로 8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엔화 약세로 제조 대기업의 수출이 늘어난 것보다 국제 원자재값이 급등한 탓에 불어난 수입이 훨씬 많았다는 분석이다. 세계 1위였던 일본의 대외순자산은 2019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나쁜 엔저’라는 지적이 나올 정도지만 일본은 금융완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엔화 가치를 올리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재정 악화가 불가피해서다.
이런 사정을 아는 투자자들은 엔화를 내다 팔고 있다. 이날 오전 도쿄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엔화값은 한때 20년 만에 가장 낮은 129엔대까지 하락했다.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만 엔화 가치는 11% 떨어졌다.
엔저에도 무역적자가 나는 상황에서 인구 감소로 내수 시장이 무너지고 있는 것 또한 문제다. 일본 총무성은 2021년 10월 1일 기준 일본 인구는 1억2550만 명으로 1년 만에 사상 최대인 64만 명 감소했다고 지난 15일 발표했다.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 비율(28.9%)은 사상 최고, 16~64세 생산연령인구 비율(59.4%)은 사상 최저였다.
하라다 유타카 나고야상과대 교수는 “특유의 폐쇄적인 문화 때문에 기술 혁신 시기를 놓친 것도 위기의 원인”이라며 “인구 감소, 원화 약세 등 한국도 일본과 비슷한 길을 가고 있다”고 경고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조미현 기자 hug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