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세운지구를 시작으로 낙후된 서울 강북 도심 재정비에 나선다. 높이와 용적률 규제를 풀어 고층 빌딩 숲을 만들고, 공공기여로 확보한 부지를 통해 대규모 녹지 공간을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1일 종로구 세운지구 일대를 방문해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발표했다. 고밀·복합개발과 녹지공간 확보를 동시에 추진해 장기간 성장이 정체된 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90m 이하로 제한된 건축물 높이와 600% 이하로 제한된 용적률도 과감히 완화하기로 했다.
현행 최고 90m 제한은 110m로 풀고, 기부채납과 연동해 높이 기준을 상한 없이 추가 완화한다는 구상이다. 오 시장은 "오랜 기간 정체된 서울 도심은 기존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방향과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서울 어느 곳에서도 시도된 적 없는 '녹지생태도심'이라는 새로운 전략을 통해 보존과 규제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원도심을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미래도심으로 재창조해 시민 여러분께 돌려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서울 도심을 지역별 특성에 따라 △신규 정비구역 △기시행 정비구역 △특성 관리구역 등 3개 구역으로 구분한다. 신규 정비구역은 '종묘~퇴계로', 동대문·DDP 일대 등 재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낙후된 지역으로, 고밀·복합 개발에 나선다.
30년이 넘은 노후 건축물이 94%에 달해 도심에서 가장 낙후된 종묘~퇴계로 일대 44만㎡ 재정비가 가장 먼저 이뤄진다. 시는 171개 구역으로 쪼개진 해당 지역의 재정비촉진지구를 적정 규모 단위로 묶어 개발하는 '통합형 정비방식'을 도입한다. '도시·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일몰제 적용으로 정비구역 해제에 직면한 147개 구역을 20개 내외로 재조정하고 향후 구역 규모를 확대할 수 있도록 구역 간 통합도 유연하게 허용하기로 했다.
기시행 정비구역은 광화문~시청 일대 같이 이미 재개발이 끝난 지역이다. 이곳에서는 공개공지 재구조화나 벽면녹화, 입체녹화 등을 통해 녹지공간을 확보한다. 한옥밀집지역이나 인사동·명동과 같이 특성에 맞는 관리가 필요한 특성관리구역은 장소에 따라 녹지 보행 가로나 거점형 녹지쉼터 등을 조성키로 했다.
또한 블록별로 최소 1개 이상의 공원을 조성하고 공원과 공원은 녹지 보행로로 연결한다. 도로는 필수 구간만 남기고 지하화해 선형녹지로 조성한다. 연결된 녹지는 인근 지역까지 확대해 도심 전체를 '순환형' 녹지 네트워크로 만들어 현재 3.7% 수준인 서울 도심의 녹지율을 15%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시는 종묘~퇴계로 일대 선도사업이 완성되면 연남동 일대 '연트럴파크'(3만4200㎡)의 4배가 넘는 약 14만㎡의 공원·녹지가 조성돼 북악산에서 종묘와 남산을 거쳐 한강으로 이어지는 서울의 대표 녹지 축이 완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바탕으로 올 하반기까지 공론화 및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상위계획인 ‘서울도심 기본계획’과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재정비하고 내년 하반기부터 구역별 정비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