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재 가격은 하락하고 수입재 가격은 상승한다.
(2) 구매력평가설은 균형환율이 각 국가의 물가 수준 차이에서 결정된다고 본다.
(3) 이자율평가설은 국가 간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상황에서 이자율 격차에 의해 장기 균형환율이 결정된다는 견해다.
(4) 단기 균형환율의 변동폭이 장기 균형환율의 변동폭보다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가격 변수가 단기에 경직적이기 때문이다.
(5) 우리나라의 국제 수출 경쟁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환율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교역상대국 물가의 상대적 비율을 감안해야 한다.
[해설]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이 수익률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해 자산투자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자본이동이 나타난다. 이자율평가설에 따르면 국가 간 자본이동에 제약이 없는 상황에서 이자율의 차이(수익률)뿐만 아니라 예상 환율 변화(위험)에 의해서도 단기 균형환율이 결정된다. [정답] ③
[문제2] 환율제도를 잘못 설명한 것은 무엇인가?
(1) 변동환율제에서는 국제수지 불균형이 환율 변동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2) 고정환율제에서는 통화정책의 자주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무역과 투자 등 국제 거래의 변동성이 낮다는 측면에서는 고정환율제가 유리하다.
(4) 고정환율제에서는 고정된 환율과 균형환율 간의 차이가 존재하면 국제수지 불균형이 발생한다.
(5) 인플레이션 안정화가 필요한 국가는 고정환율제가 유리하다.
[해설] 변동환율제에서는 국제수지 불균형이 환율의 신축적 변화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고정환율제는 변동환율제에 비해 환율 변동이 작기 때문에 국제 거래의 불확실성이 작다. 균형환율보다 환율을 낮게(높게) 고정하면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흑자)가 발생한다. 고정환율제에서는 환율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물가 수준을 관리하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변동환율제보다 인플레이션이 안정되는 경향이 있다. 고정환율제에서는 환율을 특정 수준에 유지시켜야 하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통화정책을 사용하기 어렵다. [정답] ②
[문제3] 원·달러 환율 추이가 그림처럼 지속될 경우 예상할 수 있는 경제 현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미국 여행 시기를 앞당기는 것이 유리하다.
(2) 달러 표시 외채의 채무 부담이 증가할 것이다.
(3) 달러화에 대한 원화의 가치가 하락할 것이다.
(4) 미국산 수입 농산물의 국내 가격은 상승할 것이다.
(5) 국내 기업의 대미 수출품 가격 경쟁력이 약해질 것이다.
[해설] 국내 기업의 대미 수출품 가격 경쟁력은 강해진다. 예컨대 원화로 11만9210원짜리 물건을 미국에 수출한다면 2022년 2월 21일의 달러화 표시 가격은 100달러다. 그러나 같은 물건을 2022년 4월 28일에 미국에 판매한다면 달러화 표시 가격은 ‘11만9210원÷1272.50≒93.68달러’로 낮아진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국내 기업 대미 수출품의 달러화 표시 가격을 낮춰 가격 경쟁력을 강화한다. [정답] ⑤
관련뉴스